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서울대 폐지는 위험한 발상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서인길(서인길**)
등록일 : 2004.06.08 14:14


[인터뷰]내달 취임 美예일대 법과대학원 해럴드 고 학장
“서울大 없애기보다 세계수준의 대학 더 만들어야”


▲ 해럴드 고 예일대 법대학장 내정자는“엘리트들은 명문대를 나온 것 자
체가 특혜를 받은 것이므로 더 많은 도전을 감당하고, 사회의 어려운 사람
들을 도와주는 봉사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강인선특파원


관련기사
- '해럴드 고' 는 누구인가



현재 한국 사회 일각에선 서울대 폐지론이 일고 있다. 학벌주의와 입시지옥
을 조장하고 있다는 이유다. 반면 서울대 폐지를 통한 국립대 평준화는 궁
극적으로 대학 하향 평준화를 초래해 국가경쟁력을 상실케 한다는 반론도
거세다.
오는 7월 미국 예일대 법과대학원 학장으로 취임하는 해럴드 고(49·한국명
고홍주) 교수를 만나 미국 국가경쟁력의 원천인 일류대학의 현장에서 일하
는 교육자의 목소리를 들어보았다.

미 하버드대와 영 옥스퍼드대에서 공부하고 미 예일대에서 후학을 가르쳐
온 해럴드 고교수는 자녀 교육에 있어서도 ‘지극 정성’이다. 올해 예일대에
입학하는 딸 에밀리(18·한국명 고영연)를 위해 딸이 지원하고 싶어한 대학
을 일일이 방문할 정도다.

“딸이 가고 싶어하는 하버드, 프린스턴, 스탠퍼드 등 미국 30개 대학을 방문
했다. 이들 학교를 둘러보고서, 미국의 힘은 군사력이나 경제력이 아니라
바로 탁월한 교육기관에서 나온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교육이란 과거에서
교훈을 끌어내 미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 최고대학의 경쟁력은 어디서 나온다고 생각하는가?

“일류 교수, 일류 학생, 일류 시설, 우수한 전통이 훌륭한 교육기관을 만드
는 4요소다. 우수한 전통이란 오랜 역사를 통해 우수성이 입증된 그 학교의
제도와 교육철학, 그리고 사회 각 분야로 진출한 졸업생들을 통해 나온다.
서울대학교에도 바로 이런 전통이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서울대가 학벌주의와 입시지옥의 원인이라며 폐지해
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문제해결 방법은 지금 있는 좋은 대학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좋은 대학을
더 많이 만드는 것이다. 없애는 것은 쉽지만 새로 만드는 것은 어렵다. 미국
은 언제나 더 좋은 교육기관을 더 많이 설립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한국에
도 서울대 말고도 좋은 대학들이 많다. 그러나 이들이 세계 최고 대학들과
경쟁할 수 있는가. 내가 서울대 폐지론에 반대하는 이유는 한국이 당면한
시급한 문제는 지금 있는 좋은 대학들을 빨리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기관으
로 발전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예일대 캠퍼스 전경

"美힘은 군사·경제력보다 탁월한 교육기관에서 나와 훌륭한 교육의 4대 요
소는 일류 교수·학생·시설·전통"

―한국의 대학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국가자원을 교육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한다. 부모님께서는 항상 “교육이야
말로 단기간에 가장 큰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최고의 투자”라고 말씀하
셨다. 우선 대학에 진학하고 싶은 학생들이 돈 걱정하지 않고 마음껏 공부
할 수 있도록 장학금을 많이 지원해야 한다. 지금 미국의 일류대학들은 학
생들이 경제적인 고민 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학비를 지원해주고 있다. 대
형 종합대학에 치중하지 말고, 미국의 앰허스트나 웰즐리, 윌리엄스처럼 좋
은 단과대학을 더 많이 만드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최고로 평가받는 서울대도 국제적인 일류 교육기관의 수
준에는 훨씬 못미치는 실정이다.

“한국은 경제적인 면에서, 문화와 스포츠에서 이미 세계 최고수준으로 도약
했다. 국제기구에서 활약하는 한국인들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이 교육에서
도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할 잠재력은 충분히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세계
정상급 교육기관을 육성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지금 한국이 진정으로 고민
해야 하는 문제다.”


―미국에서 최고로 인정받는 대학이라 해도 더 좋은 교육을 위해 노력하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

“국제화다. 지금까지 미국은 다른 나라 사정에 신경쓰지 않고도 살아남을
수 있는 사치를 누렸다. 그러나 세상이 달라졌다. 앞으로 25년 후에는 세계
최고의 대학이 약 25개 정도로 좁혀질 것이다. 한국도 세계수준으로 인정받
는 대학 하나는 꼭 키워야 한다.”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민주당 대선후보인 존 케리 상원의원은 모두 예일
출신이다. 예일대는 학생들의 공직진출을 독려하는가?

“학생들에게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훈련시키는 전통이 있다. 예일대 교수들
은 자신의 제자들이 장래 미국을 이끌어갈 지도자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