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김연명 교수가 한겨례에 쓴 글(펌)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연금철폐(연금철**)
등록일 : 2004.06.02 15:35
국민연금 반대측 패널로 나왔다가 오히려 찬성측 발언을 하시더니 결국 이
런 글을 쓰셨네요.. 물론 반대측 패널이 국민연금 폐지를 주장하는 사람만
나와야 되는건 아니지만 김교수의 기회론적인 사고에 실망을 금할 수 없습
니다.


국민연금 폐지주장, 오해와 무책임한 비판”

김연명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위원장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최근 논란을 불러일으킨 ‘국민연금의 비밀’이란 문건은 보험 료 강제차압의
문제점과 급여 병급조정(*유족연금 등의 동시수 령)의 개선 여지에 대해 의
미있는 문제제기를 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대부분은 사회보험인 국민연금의 원리와 구체적 내용을 모
르거나, 혹은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왜곡한 악의적이라 고 의심받기에 충분
한 ‘선동’에 가까운 내용을 담고 있다.

악의적으로 왜곡 한것이 아니라 힘든 삶속에서 나온 절규 아닐까요? 교수


가령 재벌총수가 봉급쟁이와 비슷한 보험료를 낸다는 질타는 국 민연금의
기본원리도 이해하지 못한 수준 이하의 주장이다. 보 험료 상한선을 없애
고, 재벌총수나 고소득자에게 높은 보험료 를 부과하면 결국 재벌총수나 고
소득자가 더욱 많은 연금을 타 가기 때문에 부자에게 더욱 많은 연금을 주
자는 것과 다름없는 논리다.

교수님 말씀은 맞는데 차라리 소득에 비례해서 연금을 내고 연금 수급에 상
한제를 두면 안될까요? 물론 연금가입자의 반발이 심할거라고 주장하시겠
죠?

장애나 사고를 당할 경우 본인이 사보험에서 보상을 받으면 연 금을 지급정
지 시킨다는 주장도 사실을 왜곡하는 대표적인 경우 이다. 국민연금은 본인
이 가입한 재해보험(사보험) 보상과는 무 관하게 연금을 전부 지급하고 있
다. 병급조정된 연금의 일부를 ‘국민연금이 꿀꺽’ 한다는 구절은 가히 악의
적 표현의 백미 라 할 수 있다. 국민연금이 무슨 돈을 꿀꺽하는가? 그 돈은
다 국민들의 연금으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그럼 공무원연금은 왜 보장해주는거죠? 국민연금과 공무원 연금이 평등하
려면 공무원 연금도 복수의 수급권이 발생했을때 나머지를 포기 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왜 50%를 보장해주죠? 공무원 연금과 국민연금은 다르다고
요? 일반 서민이 볼 때 꿀꺽한다고 생각하는게 당연하지 않겠습니까? 공무
원 연금이 연금자체로 해결이 된다면 이런 말도 안합니다. 공무원 연금이
나 군인 연금도 결국 국가의 보조없이는 운영이 힘들지 않겠습니까? 수급
에 있어서 불평등은 사라져야 합니다.

국민연금은 고쳐야할 부분이 산적한 불완전한 제도다. 필자는 지난 10여년
간 시민단체에서 활동하면서 수백만명에 달하는 국 민연금의 사각지대 문
제, 불합리한 보험료 부과징수체계 문제, 그리고 국민연금기금운용 및 관리
감독체계의 문제점 등 구조적 문제를 ‘미운털이 박힐 만큼’ 끊임없이 지적해
왔으며, 정부 의 미온적이고 불철저한 개혁을 누구보다 앞장서 비판해왔
다.

어느 나라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켰던것이 연금제도죠. 이런 제도를 꼭 시행
해야하는 이유는 뭐죠? 국민들의 노후생활보장을 위해서? 현행 수급체계
로 볼 때 1~20년후에도 국민연금 조금 받아서 노후가 보장 된다고 보십니
까? 그 돈으로 안정이 될런지요? 라면만 끓여먹고 살면 되겠죠? 굶어 죽지
는 않을테니깐..

때문에 최근에 국민연금으로부터 부당한 피해를 당한 국민들의 항변에 그
누구보다 공감하고 있다. 최근의 사태는 국민들 스스 로가 연금개혁의 동력
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 다. 그러나 논란의 와중에서 제기
된 일부 주장이 그동안 어렵 게 쌓아 온 복지제도의 기본틀을 흔들어 놓아
다가오는 노령화 사회에 대한 대책을 더욱 어렵게 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복지제도 .. 다 좋습니다.. 그러나 소득의 재분배를 생각하다면 국민적 합의
가 도출된 상태에서 시행을 해야지 강제적으로 80년대에 만들어진 현행 국
민연금은 문제가 많지 않나요?

일부에서는 국민연금의 강제가입 대신, 원하는 사람만 가입하 는 ‘선택제’
로 바꾸자는 주장을 하고 있다. 연금을 선택제로 바꿀 경우 생활에 쪼들리
는 저소득층은 연금에서 거의 배제될 것이 분명하다. 능력이 있는 사람은
물론 가입해서 연금을 받 을 것이다. 노후생활의 빈익빈 부익부가 더 커지
게 된다.

노후 생각하기전에 지금 죽겠는데 어쩝니까? 교수님은 학생들 가르치면서
폼나게 지내시니깐 이런 서민의 마음은 이해가 안되시는게 당연하겠죠? 토
론 보면서 답답했던 부분이 이런것도 있습니다. 국민연금 반대로 나왔던 분
들이 정말 서민의 마음을 제대로 이해하고 표현해주실수 있는 분들인가? 대
게 잘 먹고 잘 사시는 교수님들이 나오시더라고요..김교수님도 포함해서.

물론 현행 국민연금도 사각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