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보수신문들은 그 역사가 길어 넓은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문들이 많은 독자층을 이미 확보하고 있읍에도 불공정행위를 통
해 독자층을 더욱 확층하는 행위는 정의의 관점에서 이들의 도덕성이 언론
인으로써 심히 위험수위에 달해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들 신문들의 세습체
계과 편집권에 대한 통제는 민주주의의 보루인 언론의 자유에 심각한 장애
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행태는 이들 신문들이 과거의 친일 행각과 군사
쿠테타 세력과의 협력이라는 오점을 공개적인 반성과 사과가 없이 기존의
기득권을 유지함으로써 이들의 언론인과 언론사로서의 기본적인 양심에 대
한 의무를 경시하는 행태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들 신문들의 이러한 문제점이 한국의 건전한 보수주의
의 발전에 심각한 장애를 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급격한 세계체제의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과 이를 위한 합리적인 토론을 통한 사회통합에 심
각한 장애를 초래한다. 세계는 변화하고 있고 이것은 우리사회의 전 부분
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좌도, 우도 변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들 보수신문들이 과거의 보수적인 형향을 유지 강화함으로써 새
로운 패러다임의 창조를 방해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이러한 행태는 좌파
세력의 변화를 억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보수신문들의 행태가 우리사회
의 변화를 억제하고 있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본다.
한국사회는 분단과 동족상잔의 비극을 격으며,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라 좌
와 우의 건전한 규형과 긴장을 유지하며 사회전반에 비판과 합리적인 합의
의 과정을 경험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보수적인 이념에 따라 사회가 운영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인 경험의 부족의 결과 우리의 언론은 일방적으로 보
수주의 언론이 사회전반의 여론을 형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렇게 독점적
으로 형성된 언론이 과거의 오점과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를 거부하
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우리의 언론의 비정상적인 구조를 혁파하기 위해 노무현 정부는 언
론개혁이라는 대 명제 속에 개별적인 정책을 공개적인 공청회를 통해 여론
을 수렴하고 여론의 지지를 기반으로 꾸준히 일관되게 추구하여야 한다. 김
대중 정부와 같이 세무조사와 같이 보수언론사의 반격을 허용하는 방법은
취하지 말아야 한다. 공정거래위원회를 통해 신문사들의 공정한 경쟁을 유
도하여 독자들의 판단에 맞기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나가야 한다. 즉 제도
개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그리고 현재 노무현 정부의 가판금지 같은 조치는 언론개혁을 국민적 의견
수렴과 분위기 조성에 필요한 조치로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대
통령의 오해의 소지가 있는 발언은 삼가하기를 바란다. 왜냐하면 언론의 공
격의 빌미를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이들 언론의 영향력으로 인해 갖득이나
불안한 정부로 과장되어 비추어 지고있는 현 정부에 국민들의 불안감을 조
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개혁의 문제는 한마디 한마디 신중히 생각하
여 단어 선택에 유념하기를 바란다. 한국 보수신문들은 지금 어느 정권보
다 민감해하고 있으며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노무현정부가 과거의 비리
나 오점에서 거의 완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신문의 노무현 정부의
깍까내리기는 필사적일 것이다.그러므로 진중하게 신중히 한발한발 내딪기
를 바란다. 그리고 총선의 분위기에 전국이 휘말리기 전에 여론의 지지를
충분히 확보하여 올해 안에 기필코 언론개혁을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