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역발전을 위한 이번 대책을 수립하면서, 지자체들과의 정책협의회 개최는 물론 시도지사들의 건의사항 수렴 등 각 지역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했습니다.
계속해서 지방경제 활성화 대책의 추진 배경과 수립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명박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5+2 광역경제권 구상 등 다각적인 지역발전 정책을 추진해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례없는 세계적 경제위기로 국내 경기도 심각한 침체기로 접어드는 상황을 맞게 됐고, 정부는 이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 수도권 규제 합리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병행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동반 발전으로, 경기침체를 극복하겠다는 겁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마련하면서 각 지역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수렴했습니다.
먼저 지역별 정책협의회를 열어서, 지방소득세 등 지방세제의 도입과 기업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강화, 각종 지역개발사업 지원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이어서 개최한 시·도지사 회의에서는, 새만금 등 대형 국책사업의 조기 추진과 임대산업단지의 지방 조성 등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대책에 포함하지 못한 건의사항들에 대해서도, 국가균형 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검토해, 적극적으로 반영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이같은 의견수렴의 과정을 통해서, 광역화와 특성화라는 새로운 지역발전의
모델을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