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3년부터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의무 감축 국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데요.
이에 따라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2012년까지 국가 에너지 효율을 11.3%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고유가 극복과 기후변화협약 대응, 그리고 무역수지 개선까지, 국가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본격 추진됩니다.
정부는 제4차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 계획을 수립해, 오는 2012년까지 국가 에너지 효율을 11.3%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주요 실천내용을 살펴보면, 2013년까지 백열전구가 퇴출되고, 가전제품에 대한 에너지효율 목표 관리제가 실시됩니다.
에너지효율 목표 관리제는 효율 1등급 전자제품을 기준으로 업체가 생산하는 전체 제품의 평균 에너지효율을 상향조정하는 제도입니다.
즉, 강력한 수요관리를 통해 에너지 절약은 물론, 기후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입니다.
수요관리와 함께 에너지 고효율 제품의 시장 창출을 위한 정책도 추진됩니다.
우선 건물 에너지효율 관리 시스템과 전력 IT 등, 7대 핵심 분야의 기술 개발에 5년간 1조2천억원을 투입합니다.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취.등록세 면제에 이어 공채매입 감면이 추진되고, 신축 건물의 경우 에너지효율 1등급을 취득하면 용적률 등 건축기준을 최대 6%까지 완화해주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2012년까지 세부 정책과제가 차질 없이 추진되면, 모두 102억5천만달러의
에너지 수입 절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