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한-아세안센터 창립, 공식 출범

오늘 서울 프레스센터에서는 한-아세안 센터 출범식이 열렸습니다.

우리나라와 아세안과의 교류확대를 위한 기군데요, 현장을 취재한 장유진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1> 우선 오늘 출범한 한-아세안 센터에 대해서 우선 설명을 해주세요.

A1> 한-아세안 센터는 우리나라와 아세안 10개국 간 협약을 맺어 창설된 국제기구입니다.

경제, 사회, 문화 분야 교류를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고, 한-아세안 센터는 앞으로 수출기업에 수입선을 소개하거나 투자와 무역에 대한 자료를 발간하게 되는데요, 이 같은 징검다리 역할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먼저 오늘 출범식에 참석한 한승수 총리의 말 들어보겠습니다.

동남아시아 국가와 우리나라는 생각 이상으로 이미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98년부터 우리나라는 아세안 플러스 쓰리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으며 1년 넘게 농업과 상품 서비스 분야에서 FTA가 발효되는 등 다방면에서 관계를 구축해 왔습니다.

아세안 지역에서의 한국인 투자도 2005년 5억 달러에서 작년 35억 달러로 3년 만에 7배가 증가했습니다.

양측간 교역 규모는 지난해 기준 920억 달러로 우리나라의 교역 대상지역 가운데 세 번째로 큰 파트너인데요, 여기에 한-아세안 센터 창립으로 그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Q2> 네,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가 더욱 가까워질 것 같네요, 특히 한류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하던데요

A2> 네, 그렇습니다.

창립식에 참여한 까식 피롬 태국 외교장관과 압둘 라힘 말레이시아 외교부 부장관은 축사에서 더욱 풍부한 콘텐츠의 한류를 만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또한 오늘 창립식과 함께 프레스센터 8층에는 아세안 지역 전통 공예품 등을 전시하는 아세안 홀이 개관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영혼을 위한 장난감으로 불리는 스피너 등  아세안을 제대로 알 수 있는 물품이 전시돼있습니다.

Q3> 그러면 앞으로 한·아세안 센터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게 되나요?

A3> 네, 경제 문화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가 이뤄지는데요, 특히 무역과 투자 교류 확대를 위해서 무역전시회나 투자세미나, 그리고 사절단 파견같은 교류활성화를 위한 조치가 취해집니다.

물론 양측간 사업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정보교환도 이뤄지고요, 이와 함께 양 지역간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연과 전시 등 다양한 문화예술 교류 프로그램도 주관하게 됩니다.

네, 앞으로 우리나라와 아세안은 더 자주 만나면서 한층 견고한 동반자 관계가 만들어질 것 같은데요, 계획했던 사업이 하나하나 착실하게 시행되길 기대해 보겠습니다.

오늘 소식 잘 들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