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올해 경제 회복세, '근거 있는 자신감'

올 한 해 경기 흐름에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긍정적인 전망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1월에 물가 상승률이 3%대로 높아지고 무역수지가 소폭 적자를 기록했지만, 2~3월 지표들이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묻어나고 있는 건데요.

실제로 2월 무역수지는 23억3천만달러로 한달만에 흑자로 돌아섰고,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7%를 기록하면서 2%대로 돌아왔습니다.

올 한 해 우리 경제가 큰 회복세를 보일 거라는 예상은 비단 국내에만 국한된 게 아닙니다.

주요 국제기구들도 한국경제의 빠른 회복세에 대한 전망을 앞다퉈 내놓고 있는 건데요.

OECD는 올해 서른개 회원국 전체가 평균 1.9% 성장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성장률이 4.4%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IMF도 우리나라가 올해 칠레와 인도,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에 이어서, 4.5% 경제성장률로 G20 국가들 가운데 다섯번째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추가경정 예산 편성에 대한 정부의 방침도, 이런 추세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미국발 경제위기가 심각했던 작년엔 28조원 이상의 '슈퍼 추경'을 편성했지만, 올해는 몇가지 대외변수들에도 불구하고, 회복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데 별다른 이견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지난 11일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현 시점에서 추가경정 예산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대통령의 발언은 추경 편성 문제에 대해 명확한 선을 그어서 시장의 혼란을 피하는 한편, 추경 예산의 편성이 없이도 경제회복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정부는 중국의 내수 확대 방향과 위안화 절상 문제 등 해외경제 동향도 면밀히 주시하면서, 대내외 위험요인들은 사전에 철저히 대비한다는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