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문체부 정부 3.0 공공문화정보공개 방안 [집중 인터뷰]

희망의 새시대

문체부 정부 3.0 공공문화정보공개 방안 [집중 인터뷰]

등록일 : 2013.10.22

정부 3.0 비전이 선포되고 4 개월여가 지났습니다.

정보 공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생겼다는 평가인데요.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정부 3.0 비전에 맞춰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공봉석 문화체육관광부 정보통계담당관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MC>           

Q1>

공공기관의 정보를 국민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정부 3.0입니다.

문체부에서는 이미 공공문화정보를 한곳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었죠?

설명 부탁드립니다.


Q) 문체부 정부 3.0…공공문화정보공개는?

A> 문화포털 www.culture.go.kr

A> 문체부 소속·산하기관 등 70개 공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520만 건의 문화정보에 대한 실시간 통합검색 가능.


MC>           

Q2>    

문화포털을 통한 정보 공개 비율은 어느 정도 입니까?

Q) ‘문화포털’ 통한 정보공개 비율은?

A> 정보제공건수 : 기존 60만 건 → 520만 건 (1,100% 이상 증가)

기관별 정보개방비율 : 전체 정보의 6% 수준 (2017년까지 57% 수준으로 확대 방침)


MC>

Q3>    

지난달 발전된 문체부의 3.0 계획이 발표됐습니다.

‘국가문화유산정보 종합서비스'인데요.

소개 부탁드립니다.


Q) ‘국가문화유산정보 종합서비스’란?

A> 국·공립·사립 박물관, 문화재청 등 다양한 기관이 개별 제공하던 ‘문화유산’ 관련정보 30여만 건을 통합 제공 (지난 9월 11일 개시)


MC>           

Q4>    

국가문화유산과 관련된 기관이 상당히 많지 않습니까?

데이터도 방대할 것 같은데요?


Q) 방대한 국가문화유산정보, 취합 과정은?

MC>           

Q5> (전국 669개 박물관이 보유한 정보를 하나로 모은 건데요) 기관마다 데이터 취급 용어와  체계도 상이했을 것 같습니다.

어려움은 없었습니까?


Q> 전국 박물관 보유 정보 일원화, 어려움 없었나?

MC>

Q6> 그런가하면 이러한 국가문화유산정보종합서비스를 통해 공공저작물에 대한 시민의 이용도  활성화 시킬 계획이라고요?


Q> 국가문화유산정보, 공공저작물 활용 계획은?

A> ’14년 상반기까지 국가문화유산정보 공공저작물에 대한 ‘공공누리(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 일괄 적용 예정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에 대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표시하여 알려주는 제도


MC>           

Q7> 국민 입장에서는 문화포털 등을 통해 그 정보를 바로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는 건가요?

Q> 국가문화유산 공공누리, 실제 활용 방안은?

MC>

Q8>    

이런 문화 정보공개, 정부 3.0을 통한 새로운 수익창출모델도 생길 것 같습니다.

문체부 정부 3.0을 통한 기대효과, 말씀 부탁드립니다.


Q> 문체부 정부 3.0 통한 기대효과는?

MC>

Q9> 앞으로 ‘국가문화유산정보 종합서비스’의 마스터플랜은 어떻게 수립돼 있습니까?

Q> ‘국가문화유산정보 종합서비스’ 중장기 계획은?

A>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 시스템의 단계적 협업 통해 국가문화유산 관리체계 구축, 서비스 품질 강화 위한 전략 세우는 과정

A> 올해 말까지 전국의 문화재 · 박물관 소장 유물 등 문화유산정보의 종합적인 관리 기틀 마련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MC>

Q10> 그런가하면 문체부에서는 공공문화정보에 대한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죠? 

Q> ‘공공문화정보 아이디어 공모전’ 주요 내용은?

A> 정부 3.0 정보 공개 확산에 따른 공공문화정보의 민간 활용 촉진을 위한 ‘정부 3.0 공공문화정보 아이디어 공모전’ 진행 

A>  문화포털(www.culture.go.kr) 참여 가능

MC>

Q10-1> 공모 기간과 참가 분야도 설명 해주시죠.

Q> ‘공공문화정보 아이디어 공모전’ 기간과 분야는?

A> 9월 30일~11월 30일 (2달 간 진행)

A> 소속·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문화예술, 문화유산, 문화산업, 도서, 관광, 체육, 정책홍보 7개 분야의 공공정보 대상

A> 문의 : 공모전 사무국 (02-3153-2837)


MC>

Q11> 이 아이디어 공모전과 별도로 공공문화정보개방 우수 공공기관을 선정해 시상할 예정이라고요?

우수 사례를 소개해주신다면?


Q> ‘공공문화정보개방’ 공공기관 우수 사례는?

A> 소속·공공기관 대상, 정보개방 · 민간 활용 촉진 위해 노력한 기관을 격려하고 우수기관으로 선정하여 시상할 예정.

A> 한국문화정보센터 우리의 전통문양 디자인을 소재화 해 민간기업에 제품개발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한 사례


MC>           

Q12> 끝으로 앞으로의 문체부의 공공문화정보개방 로드맵, 어떻게 추진될 예정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Q> 문체부 ‘공공문화정보개방’ 로드맵, 추진방안은? 

A> 1단계: 우리부 소속·공공기관 보유한 문화정보를 통합관리, 민간에게 개방

A> 2단계 이후: 타 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이 보유한 문화관련 정보 통합관리, 민간에게 개방

A> 내년에는 공공정보 개방 위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공공정보를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계획.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