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전통 북 '대고장'…가족이 맥 잇는다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전통 북 '대고장'…가족이 맥 잇는다

등록일 : 2015.04.13

지름이 60센티미터 이상인 큰 북을 대고장이라고 부르는데요.

전통 악기인 대고장을 만드는 비법이 대를 이어 전수돼 명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유선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전통 북을 만드는 기술은 목재와 가죽의 건조 작업부터 시작됩니다.

나무 조각을 대패로 다듬고 건조된 통 조각을 풀로 붙여 맞춘 뒤 북통을 세웁니다.

여기에 물에 불린 소가죽을 얹고 팽팽하게 가죽을 메워 대고장을 만드는 손끝에 장인의 숨결이 느껴집니다.

수십 번의 장인의 손길이 가야 하는 길고도 힘든 과정을 생명력이 있는 대고장이 탄생합니다.

인터뷰> 김종문 / 대구무형문화재 제12호

"예전에는 북 하나만 만들어도 수입이 좋았는데 지금은 활성화는 됐지만 만드는 업자는 많아지고 부속품 값도 올라가고 그런데 제품값이 안 올라가서.."

1996년 기능 보유자로 지정돼 반세기를 하루같이 전통 국악기를 만들어 온 김 종문 장인의 대고장 기술은 아들과 며느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장인의 며느리 권태숙 씨는 북에 단청을 그리고 아버지의 기술을 이어받은 아들도 이제는 무형 문화재 기능 보유자가 돼 전통의 방법으로 북을 만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웅 / 전수조교

"작업과정 기술적인 측면 등을 정리하고 전통적인 것을 계속 고수해 나가면서 국악기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좋은 악기 만드는데 더 신경쓰는 게.."

우리 전통 북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이들 가족의 장인 정신으로 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제는 장인의 아들과 며느리가 전수자가 돼 전통 비법을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인터뷰> 윤종곤 보유자 / 대구무형문화재 제2호 날뫼북춤보존회

“한평생을 수작업으로 전역해 오시는데 북 만드는 모든 기술을 다 가지고 계십니다.”

전통 북 제작은 많은 손길과 기다림이 필요한 힘든 작업이지만 그나마 국악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이들에게 희망을 안겨 주고 있습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대고장은 오랜 전통과 대를 이어 그 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최유선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