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사회약자가 편한 '유니버설 디자인' 첫 선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사회약자가 편한 '유니버설 디자인' 첫 선

등록일 : 2016.04.22

앵커>
유니버설 디자인, 혹시 들어보셨습니까?
나이나 성별은 물론 장애가 있는 분들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인데요
오래된 복지회관 건물에 이 디자인이 적용돼 주민들의 불편을 덜게 됐습니다.
모상우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아이부터 노인, 그리고 장애인까지 평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한 복지회관입니다.
지은 지 20년이 넘어 그동안 시설을 이용하는데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확 달라졌습니다.
오르내리기 힘들던 계단을 낮게 만들고 주차장과 이어지던 정문은 보행로를 따로 만들어 사고 위험을 줄이고,
건물입구의 턱도 조정해 휠체어나 유모차가 쉽게 다닐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정복림 / 경기도 성남시
"계단이 높아서 노인들이 올라 다니기 엄청 힘들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이렇게 계단을 낮춰 올라 다니기가 참 편하고 좋아요"
인터뷰> 최민아 보육교사 / 성남시 산성어린이집
"여기 턱이 너무 높아서 아이들이 다니기 위험해 선생님들이 한명 한명 손을 잡고 내려가곤 했는데 공사가 끝나고 나서부터는 아이들이 손잡이를 잡고 스스로 갈 수 있게 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어 너무 좋습니다."
나이나 성별은 물론 장애가 있든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
바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겁니다.
사회약자가 편한 디자인은 사회구성원 모두에게도 편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의미있는 디자인입니다.
경기도는 지난 2011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만든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이 건물에 그대로 반영?습니다.
가이드라인에는 공공건축물 등 다양한 공공디자인 분야를 디자인할때 고려해야 할 원칙을 담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창화 과장 / 경기도 건축디자인과
"올해는 좀 더 확대해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에 주택과 이면도로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해서…"
올해는 특히 어린이 통학로에 유니버설 디자인 시범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장애인을 포함해 모든 사람들을 위한 착한 디자인으로 불리는 유니버설 디자인.
앞으로 공공디자인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모상우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