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오는 7일 한중 통상 점검회의를 열고,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우리 업종 동향을 점검합니다.
정부는 중국의 보복조치가 국제 규범을 위반한 것은 아닌지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입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리포트>
석유화학, 철강, 화장품 등 중국에 수출하는 주요 업종의 동향을 점검하는 한-중 통상 점검 TF가 오는 7일 개최됩니다.
최근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당초 9일로 예정됐던 회의를 이틀 앞당긴겁니다.
산업부는 통상과 투자, 무역 담당관을 중심으로 중국 신속 대응반을 가동할 방침입니다.
또 중국에 있는 무역투자 유관기관과 회의를 열어 현지 동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애로사항 등을 수시로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영업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수출 기업에는 수출바우처와 중소기업청의 긴급경영안정자금 대출 등 각종 제도적 지원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한편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최근 중국의 조치에 대해 깊은 우려를 나타내면서 우리 업계가 부당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통상 역량을 최대한 가동해 대응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WTO와 한중 FTA 등 규범에 위배되는 조치에 대해서는 국제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중국의 이번 조치를 면밀하게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이는 WTO와 한중 FTA 관련 규정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중국측 반발에도 불구하고 사드 배치 시기를 되도록 서두르겠다는 의지도 거듭 강조했습니다.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