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쉽지 않은 '일회용품 안 쓰기' 석달 도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쉽지 않은 '일회용품 안 쓰기' 석달 도전

등록일 : 2018.01.10

일회용폼은 편리하다는 이유로 일상생활에 자주 쓰이지만 환경오염의 주범이기도 한데요.
지역의 한 환경단체에서 '석달동안 일회용품 쓰지 않기' 라는 특별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는데 일부 시민이 과감하게 도전했습니다.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요?
임보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일회용품 안 쓰기' 프로그램에 도전한 주부 임여훈 씨, 지난 석 달 동안 생활 속에서 다양한 실천을 했습니다.
주방 곳곳에 마련해둔 텀블러, 혹시나 두 자녀와 남편이 일회용 컵을 쓸 수도 있다는 생각에 일일이 챙겨주기 위해서입니다.
자녀 간식도 일회용 플라스틱을 버리게 되는 편의점 음식 대신 집에서 직접 마련해주기도 했습니다.
녹취> 임여훈 / '일회용품 안 쓰기' 도전자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것이 하나의 사회적 배려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사용을 줄임으로써 환경이 깨끗해지기 때문입니다.”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 최종균 씨도 일회용품 안 쓰기에 도전했습니다.
지난 석 달 동안 도시락을 먹을 때 나무젓가락 대신 일반 쇠 수저를 썼는데요.
설거지가 다소 귀찮긴 했지만 작은 환경 실천을 했다는 생각에 뿌듯하기만 합니다.
녹취> 최종균 / '일회용품 안 쓰기' 도전자
“사소한 실천으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돼서 앞으로 주위에 많이 권유하고 싶어요.”
10대 도전자인 김민결 양, 카페에서 음료를 주문하면서 일회용 컵은 쓰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머그잔에 주세요.”
또, 가게에서 과일을 살 때는 커다란 가방을 갖고 가 비닐봉지 대신 담아오기도 했습니다.
- 비닐봉지에 담아드릴까요?
- 괜찮아요.
녹취> 김민결 / '일회용품 안 쓰기' 도전자
“비닐봉지 안 쓰기, 이런 것을 저부터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됐고, 도전단이 끝나도 일상에서 계속할 계획입니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이 지난 석 달 동안 18개 품목을 대상으로 벌인 일회용품 안 쓰기 프로그램, 일회용 컵부터 비닐봉지, 나무젓가락, 그리고 일회용 목욕용품까지 모든 품목에서 광주 시민이 쓰는 양이 전 국민 평균치를 웃돌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연령의 시민 도전단 20명의 성과를 확인하는 시상식 날.
참여 시민들은 첫 달과 두 달째는 일회용 컵과 비닐봉지를 쓰지 않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했지만, 모든 일회용품을 쓰지 않기로 한 마지막 석 달째 목표는 지키기 어려웠다고 입을 모읍니다.
“저는 일회용 컵은 되겠는데 비닐은 정말 어렵더라고요.”
“(도전을 통해) 바뀐 것은 이제 일회용 장갑은 사용 안 해요.”
참여 시민들은 SNS에 그동안의 활동 수기를 올려 공유했고, 환경단체는 글을 많이 올린 다섯 명에게 노력을 인증하는 활동상을 수여했습니다.
녹취> 임여훈 / 일회용품 안 쓰기 '활동상' 수상
“저로 인해 사람들이 변화되면 보람 있지 않겠습니까. 지속해서 꾸준히 모범이 되겠습니다.”
녹취> 정은정 간사 / 광주환경운동연합
“시민들이 함께하는 여러 캠페인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일회용품 사용을 자제시킬 수 있는 지역 조례까지 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장은 불편할 수도 있지만 얼마든지 줄일 수 있는 일회용품.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나부터 줄여보겠다는 작지만 의미 있는 노력이 확산되길 기대해봅니다.
국민리포트 임보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