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은 특히 북한이 비핵화를 하면 체재 보장과 경제 개발 지원 등 밝은 미래 보장에 국제사회가 동참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일, 리커창 중국 총리와 회담을 가졌습니다.
양 정상은 북한에 대해 일방적 요구만 할 것이 아니라 비핵화에 상응하는 지원에 국제사회가 동참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습니다.
녹취> 윤영찬 /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완전한 비핵화를 실행할 경우 체제 보장과 경제개발 지원 등 밝은 미래를 보장해 주는 데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적극 동참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특히 북한 경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 신의주, 중국을 잇는 철도 건설 사업이 검토될 수 있으며 한중 양국의 조사연구사업이 선행될 수 있다는 데도 의견이 일치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중 양국민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미세 먼지 문제라며 양국 정부가 진지하게 걱정하고 함께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동북아 안전보장 논의에 일본도 참여하고 싶다는 아베 총리의 말에 문 대통령은 평화협정은 전쟁 당사자끼리 합의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의겸 / 청와대 대변인
“평화협정은 전쟁 당사자끼리 합의하는 것이고, 더 넓은 의미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에는 일본이 반드시 참여해야 하고, 협력해 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양국 간 교류와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셔틀외교도 본격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아베 총리는 취임 1주년을 맞은 문 대통령에게 깜짝 케이크 선물을 했습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