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야생진드기 비상···"야외활동때 긴 옷 착용"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야생진드기 비상···"야외활동때 긴 옷 착용"

등록일 : 2018.06.21

야외활동이 많은 요즘, 야생진드기 비상이 걸렸습니다.
야생진드기에 물려 고열과 구토 증세를 보여 치료를받다
숨지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야외활동을 할때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옷을 입으시는게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임보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반려견을 키우고 있는 김혜미 씨, 산책할 때마다 걱정이 앞섭니다.
집에 돌아오면 진드기가 반려견의 털에 붙어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혜미 / 광주광역시 서구
“살인 진드기 같은 게 강아지한테 붙어 사람한테 옮으면 아주 위험하다고 들었거든요. 그래서 산책 시킬 때 제일 불안한 일 순위가 진드기예요.”
은퇴한 뒤 텃밭을 가꾸며 전원생활을 하는 임동호 씨.
자연 속에서 소소한 행복을 만끽하지만 진드기 때문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동호 / 전북 고창군
“샤워하다 보니 빨간 반점이 몸에 있어서 확인했더니 진드기였어요. 요새 살인 진드기라는 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걱정이 되고..”
올해 들어 야생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병인 SFTS, 즉 중증열성혈소판 감소 증후군으로 숨진 사람이 10명이나 됩니다.
야생진드기 때문에 숨진 환자는 지난 2013년 17명에서 지난해에는 54명으로 해마다 크게 늘고 있습니다.
야생진드기에 물리면 일주일 가량 잠복기를 거친 뒤 고열이 지속되고 구토와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이는데요.
치사율이 20%에 이르지만, 예방백신이나 바이러스 치료제가 없어 특히 노약자들이 걸리면 치명적입니다.
야생 진드기가 기승을 부리자 보건당국은 주민들을 위협하는 진드기 채취와 검사를 계속하면서 긴장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서진종 /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조사과장
“야생진드기에 물렸을 때는 핀셋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진드기의 머리가 피부에 남아 있지 않도록 제거한 후에 소독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야생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게 최선의 예방책.
하지만 짧은 옷을 입고 풀밭에 그대로 앉아있는 등 부주의한 모습이 쉽게 눈에 띕니다.
인터뷰> 나들이 시민
“요즘 공원에 종종 오면 풀밭에 앉았다 가기도 하는데 진드기는 별로 신경 쓰이지 않아서 이렇게 짧은 옷을 입기도 했고요.”
야외활동을 할 때는 반팔 옷이나 샌들을 피하고 긴 옷을 입는 등 피부를 노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또, 집에 돌아와서는 옷을 세탁하고 목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마 하다가는 목숨까지 앗아갈 정도로 위험한 야생진드기.
자칫 큰 낭패를 볼 수도 있는 만큼 각별히 주의, 또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국민리포트 임보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