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문화공간으로 변신···'추억의 기차역' 인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문화공간으로 변신···'추억의 기차역' 인기

등록일 : 2018.06.26

세월이 흐르며 오래된 기차역이 하나둘씩 문을 닫고 있습니다.
더이상 기적소리는 들리지 않지만 고풍스러운 옛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채 문화 공간으로 바뀌는 기차역이 늘고 있습니다.
숱한 애환이 서려 있는 추억의 기차역, 홍승철 국민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대구 시내에 남아 있는 옛 동촌역.
일제강점기부터 기차가 지나갔던 철길이 없어지면서 역 이름만 남았습니다.
초록색 기와지붕에 고풍스러운 대합실 천정과 창호.
책이 2천 권이 넘는 작은 도서관으로 바뀐 뒤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락방 개념인 2층은 사람들이 독서삼매경에 푹 빠질 정도로 인깁니다.
어린이들을 위한 인형극도 열려 눈길을 끕니다.
“호랑이 가족이 (목욕탕에 갔어요) 목욕탕에 갔어요.”
인터뷰> 강부림 / 대구시 동구
“할머니와 토토랑 안아주는 게 재미있었어요.”
인터뷰> 전승환 / 대구 안심도서관 사서
“지역주민들이 작은 도서관을 이용하면서 독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셨고 문화생활에도 참여할 수 있어서..”
이름만 남은 옛 반야월역.
일제강점기부터 기차가 지나갔던 이곳도 8천 권의 책을 갖춘 작은 도서관으로 바뀌었는데요.
지상에 조성된 철도공원과 어우러져 주민들의 문화 쉼터 공간이 됐습니다.
인터뷰> 권은선 / 대구시 동구
“주변이 모두 아파트 숲이 돼버렸는데 이렇게 역사가 그대로 보존되고 있으니까 참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철도 이용객이 급격히 줄어 이름만 남은 금강역에도 다양한 볼거리가 마련됐습니다.
이처럼 새마을호 열차 두 량을 개조해 레일카페를 만들었는데요.
젊은이들이 많이 찾을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연근 재배지로 전국에 알려진 곳인 이곳 역 주변에는 연밭을 주제로 한 산책로를 비롯해 생태관과 갤러리도 있습니다.
연근을 재료로 한 로컬푸드 프리마켓도 마련됐는데요.
주말에는 역광장에서 버스킹 공연도 펼쳐집니다.
인터뷰> 안정우 / 대구시 수성구
“주위에 금호강도 흐르고 농촌풍경도 있어 아주 좋습니다.”
'비 내리는 고모령'이라는 옛노래의 배경이 된 경부선 고모역.
이곳은 기차가 멈추지 않아 문화 휴식공간으로 바뀔 예정입니다.
인터뷰> 최상준 / 대구시 도시디자인과 주무관
“역사 내부에는 추억을 느낄 수 있는 사진, 영상, 음악 등을 전시하고 역사 외부에는 자연과 함께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제 더 이상 기적 소리가 들리지 않는 추억의 기차역.
옛 모습 그대로를 간직한 채 색다른 명소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홍승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