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가족과 함께 '전통장 만들기 체험'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가족과 함께 '전통장 만들기 체험'

등록일 : 2019.03.05

이유리 앵커>
그 집 음식 맛을 알려면 장맛을 보면 알 수 있다는 말이 있죠.
하지만 가정에서 직접 고추장과 된장, 간장을 담가 먹었던 전통이 사라지고있는데요.
가족과 함께 전통 장을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이 펼쳐져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서희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이서희 국민기자>
전통 장을 만드는 체험 현장, 참가한 가족들이 전통식품명인의 말에 귀를 기울입니다.

현장음>
"정월달 맏날 그믐날 손 없는 날로 장 담그는 것을 철저하게 하셨어요."

광주농업기술센터에서 열린 '전통 장 담그기 체험 행사', 먼저 미리 콩으로 만든 메주를 씻는 작업, 메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열심히 솔질을 합니다.

인터뷰> 서시우 / 광주광역시 계수초 재학생
"메주가 많이 딱딱했는데 이게 된장이라는 게 믿기지가 않았어요."

이어 메주를 깨끗이 씻은 뒤 장독대로 옮겨 잠시 햇볕에 말립니다.
이번에는 불에 태운 짚으로 항아리를 소독하는 순서.

현장음>
"우와~ 불 붙였다~"

불에 타고 있는 짚을 항아리에 넣고 한 번 돌린 다음 입구가 땅에 닿게 거꾸로 뒤집는데요, 참가자들도 따라합니다.
이어 메주를 넣어두는 항아리를 물로 깨끗이 씻어냅니다.

현장음>
"선생님, 왜 메주를 항아리에 넣는 거예요?"
"항아리는 숨을 쉬기 때문에 발효가 잘 되려면 여기에 하는 거예요."

항아리에 메주를 모두 옮기면 소금물을 만들어 붓습니다.
눈길을 끈 것은 소금물에 계란을 넣어보는 것, 달걀이 동전 500원 정도의 크기만큼만 떠올라야 염도가 적당한데요.
진짜 딱 맞게 달걀이 떠오릅니다.
드디어 마지막 순서, 항아리에 빨간 고추와 함께 숯을 넣어둡니다.

현장음>
냄새 제거하라고 숯을 넣어주고 고추는 곰팡이 피지 말라고 넣어주는 것이야..

장을 담근 뒤 40일에서 60일 정도 숙성되길 기다리면 맛있는 간장과 된장이 되는데요.
참가한 서른 가족은 오는 9월에 완성된 전통 장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인터뷰> 신가윤 / 광주광역시 건국초 4학년
"직접 눈으로 보지 못했는데 여기 와서 보니까 신기하고 재밌었어요."

인터뷰> 신효순 / 광주광역시 북구
"직접 몸으로 체험해보니 아이들이 정말 즐거워하고 흥미로워해서 기억에 많이 남을 것 같습니다."

(촬영: 임보현 국민기자)

전통 장을 어떻게 하면 잘 만들 수 있는지 전통명인이 자상하게 소개합니다.

인터뷰> 백정자 / 전통식품명인 제65호
"발효가 잘 되어야 잘 되고 또 물이 좋아야 되고 그다음에 소금이 좋아야 돼요. 그래서 천연적인 자연환경이 좋아야 되고 그래야 전통 장이지..."

예전 겨울만 되면 집안에 구수하게 퍼지던 메주 냄새는 이제 오래전 추억이 돼버렸는데요.
이번 전통 장 담그기 체험은 옛 조상들의 뛰어난 슬기로움을 온몸으로 알게 된 좋은 기회가 됐습니다.

국민리포트 이서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