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친환경 미래 교통 '무가선 트램'···2021년 부산서 첫 운행 [현장in]

KTV 뉴스중심

친환경 미래 교통 '무가선 트램'···2021년 부산서 첫 운행 [현장in]

등록일 : 2019.04.03

임소형 앵커>
최근 친환경 미래교통수단으로 트램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미 전세계 400여개 도시에서 운행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홍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홍진우 기자>
부산에서도 교통이 불편한 곳으로 꼽히는 용호동 일대.
도시철도를 이용하려면 먼 거리를 가야하고, 출퇴근 시간 때는 2km 거리에 30분이 넘게 걸리는 게 일상입니다.

홍진우 기자 jinu0322@korea.kr>
"제가 서 있는 곳은 그나마 도시철도역과 가까운 용호동의 한 아파트 단지인데요. 제가 직접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걸어가 보겠습니다. 이곳 경성대·부경대 역까지 제가 빠른 걸음으로 걸었더니 약 20분 정도 소요됐습니다."

이렇듯 동네 주민들이 겪었던 다양한 불편함은 트램을 통해 해소될 전망입니다.
트램 노선은 경성대·부경대 역에서 오륙도를 잇는 5.4km 구간에서 먼저 이기대 어귀 삼거리까지 1.9km 구간에 들어설 계획입니다.

인터뷰> 이병운 / 부산시 도시철도지원단 트램담당
"(용호동은) 평소에 교통 혼잡이라든지 정체가 많은 지역이었습니다. 현재 실증노선을 통해서 트램이 상용화되면 저희가 계획하고 있는 도시철도망 중에 4개 노선도 트램을..."

무가선트램 시험선
(장소: 오송철도기지)

특히 부산 오륙도선에는 우리나라가 9년여 동안 연구·개발한 무가선 저상트램이 첫 운행됩니다.

홍진우 기자 jinu0322@korea.kr>
"무가선 저상트램은 기존 노면전차와 달리 대용량 배터리를 주동력으로 사용해 전력선 없이 운행 가능한 경전철입니다."

직접 타본 무가선 저상트램은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없는 것은 기본이고, 노면에 붙어 운행돼 노약자와 장애인이 쉽게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또 200명 이상의 대규모 인원수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눈에 띄었습니다.
250인 수송 도로점유율을 비교해 봤을 때 트램 1대가 승용차 250대, 버스 3~5대 정도의 교통체증과 배기가스 배출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설비용도 경전철의 3분의 1, 지하철의 6분의 1수준이고 건설기간도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또 경제적 효과가 뛰어난데 원도심 재생과 관광사업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곽재호 / 무가선트램국책연구단장
"트램이 현재 전 세계 400여 개 도시에서 운행되고 있습니다. 도입된 가장 큰 이유는 가장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도시재생 수단으로써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죠. 많은 사람들이 걸어 다닐 수 있는 효과로 그 노선을 따라 그 도시를 재생시키는..."

다만 기존 도로 한 차선을 점유할 수밖에 없어 기존 대중교통과의 연계, 교통 흐름 개선 등이 과제로 꼽힙니다.
친환경 미래교통수단으로 교통 혁명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는 트램.
(영상취재: 안은욱 우효성 / 영상편집: 양세형)
부산과 대전 등 여러 지자체에서 앞다퉈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부산 오륙도선은 오는 2021년 실증 운행을 거쳐 이듬해부터 상용 운행됩니다.

현장인 홍진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