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건강보험 보장률 70% 목표···문재인 케어 2년 성과와 과제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건강보험 보장률 70% 목표···문재인 케어 2년 성과와 과제는?

등록일 : 2019.07.04

임보라 앵커>
건강보험 보장성을 확대하는 ‘문재인케어’가 발표된 지 2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로 약 3천 600만 명이 혜택을 받았고, 2조 2천억 원의 의료비 절감 효과가 나타났는데요,
지난 2년 간의 성과를 비롯한 중간점검과 함께 남은 과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신영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출연: 신영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임보라 앵커>
정부가 의료비로 인한 가계 파탄을 방지하기 위해 ‘문재인 케어’라고 부르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을 발표한 지 2년이 되어갑니다.
우선 2년을 맞는 의미와 종합적인 평가를 하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강화 대책 시행 2년 동안 약 3,600만 명의 국민이 의료보험 경감혜택을 받았다고 밝혔는데요.
관련해서 세부 내용 더 짚어주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자면, 우선 중증질환 환자의 부담도 크게 경감되었습니다.
MRI에 대한 건강보험 확대가 큰 역할을 했죠?

임보라 앵커>
특히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비 부담 경감도 눈에 띕니다.
기존에 비해 얼마나 개선이 된 건가요?

임보라 앵커>
또 치매, 임플란트 등 노인들이 보장 받을 수 있는 건강보험의 확대도 중요한 요소인데요.
어떤 부분이, 얼마나 개선되었나요?

임보라 앵커>
포괄적인 이야기를 해보자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의 가장 우선순위에는 ‘비급여의 급여화’가 있습니다.
관련해서 우선 3대 비급여의 급여화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짚어주시겠습니까?

임보라 앵커>
의학적 비급여 역시 급여화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간, 콩팥 초음파, 뇌혈관 질환 검사, 눈과 귀 검사 등에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된 건데요, 어떤 이유에서 보장을 확대한 것일지 또 어떤 결과가 있었는지요?

임보라 앵커>
약제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도 늘어났습니다.
특히 암과 희귀질환의 경우 치료비가 엄청난 만큼 보장이 절실한 부분인데요.
어떤 변화가 있었습니까?

임보라 앵커>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보험 역시 적용이 확대됐는데요, 아동의 경우 치아 문제가 가장 큰 골칫거리지 않습니까?

임보라 앵커>
올해는 자궁, 난소, 전립선 등이 내년에는 흉부와 심장 초음파까지 건강보험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2022년까지 어떤 보장이 확대될 예정인지도 짚어주시죠.

임보라 앵커>
보장성강화라는 건강보험 급여항목 확대정책에 소요되는 재원은 결국 국민의 건강보험료 부담으로 전가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의료비의 효율화 정책도 보장성 강화 정책과 병행하여 추진되어야겠죠?

임보라 앵커>
또 효율적이고 질 높은 의료체계를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관련해서는 어떤 과제가 있다고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문재인 케어)를 위해 내년 건강보험 보험료율을 3.49% 올리려던 정부 계획이 노동계와 경영계 등 가입자 단체 반발에 무산됐습니다.
관련 과제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출범 2년을 맞은 문재인 케어, 앞으로 또 어떤 변화가 진행될지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마무리 말씀으로 정부 과제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신석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