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콘텐츠산업 강국으로 가는길 [유용화의 오늘의 눈]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콘텐츠산업 강국으로 가는길 [유용화의 오늘의 눈]

등록일 : 2019.07.05

유용화 앵커>
역시 콘텐츠 산업은 우리경제를 이끌어가는 효자 분야인 것 같습니다.

문체부에서 발표한 '2018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콘텐츠산업의 매출액은 전년대비 6.7% 증가한 113조 2천 165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더욱이 수출에서도 호조를 보였는데요,
2017년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전년대비 무려 46.7% 증가한 88억 천 444만 달러입니다.

콘텐츠산업은 출판, 게임, 방송, 광고, 지식정보, 만화, 음악, 캐릭터, 영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분류되는데요,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연평균 15.7%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한류의 지속적인 인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한류의 1차 전성기는 한국드라마의 폭발적인 인기가 동남아시아를 넘어- 미주와 중동, 유럽까지 영향을 미쳤던 1997년 이후, 2000년대를 지칭합니다.

2000년대부터 한국드라마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일본을 앞서기 시작합니다.

그 전만 해도 한국은 외국의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수입만 해오던 순수입국 이었습니다.

그러나 2003년 400% 성장, 2004년에는 전년대비 500% 성장한 3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일본과의 격차가 현격하게 벌어지며, 한류의 절정기에 들어서게 됐습니다.

한류의 제2차 절정기는 'K-POP의 부흥'이라고 할수있습니다.

2012년 유튜브 조회수 천만건을 기록한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는 빌보드 차트 K-pop분야에서 1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강남스타일은 '한국의 부유층이 사는 강남을 풍자한 노래'로서, 거부할 수 없는 중독성 강한 비트와 후렴구로 그 인기와 열풍을 전 지구적으로 이끌어갔습니다.

현재 11주 연속 미국 빌보드 차트 상위권에 올라있는 방탄소년단 BTS의 전 세계적 인기는 새삼스럽게 강조할 필요도 없습니다.

방탄소년단 노래를 따라 부르기 위해 한글을 공부하는 외국인이 갈수록 늘어날 정도니까요.

BTS가 발표한 마 시티의 가사 중 일부는 5.18 광주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내용이 있죠.

그래서 외국인들이 한국의 광주민주화 운동에 대해 알게 되는 계기가 됐다고 하니, 한류의 영향력을 다시금 느끼게 합니다.

백범 김구선생은 일찍이 대한민국이 '문화국가'로 성장할 수 있다며, 우리 민족의 문화적 잠재력에 대해서 높게 평가했습니다.

70년 전 문화국가 성장가능성을 점친 백범의 예측력이 이제 와서 발현되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우리민족이 창의성과 자발적 능동성이 뛰어나다는 것인데요.

한국의 청년들이 그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 그리고 과감한 지원만 이뤄진다면 문화 일류국가, 문화로 전 세계를 아우르는 나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임을 확신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