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日 수출규제 한 달···"불매운동으로 맞선다" [현장in]

KTV 뉴스중심

日 수출규제 한 달···"불매운동으로 맞선다" [현장in]

등록일 : 2019.07.31

김유영 앵커>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한 지 한 달이 됐습니다.
이 같은 일본의 경제보복에 맞선 불매운동이 한 달 사이에 점차 확산하고 있는데요.
현장인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여름 휴가철을 맞은 인천국제공항.
출발 2시간이 채 남지 않았는데도 일본 오사카행 비행기 탑승수속 창구는 한산하기만 합니다.
비슷한 시간에 출발하는 바로 옆 말레이시아행 탑승 수속 창구와 비교되는 모습입니다.

인터뷰> 구희주 / 경기도 안산시
“이번에는 시국이 지금 그런 상황이다 보니까 (일본여행은) 일단은 배제를 하고 동남아쪽으로 더 생각을 많이 하게 됐던 것 같아요. (주변에서도) 일본은 거의 안 가는 편인 것 같아요. 다른 나라로 바꾸시는 분들도 있고...”

실제로 일본이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한 7월 1일 이후 일본을 찾는 한국 여행객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온라인쇼핑몰의 7월 한 달간 국제선 항공권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3% 증가한 반면에 일본 노선은 38%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렇게 가지 않고, 사지도 않는 일본 불매운동은 일본의 수출규제 한 달 사이에 점차 확산하는 모양샙니다.
한 소비자단체의 설문조사 결과, 10명 중 7명은 불매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에는 더 똑똑하게 불매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일본 제품인지 아닌지 직접 확인해주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도 나왔습니다.
이 애플리케이션으로 바코드를 촬영하면 제가 손에 들고 있는 이 맥주가 일본산 제품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가 있는데요.
이 바코드를 직접 이렇게 찍어봤더니 일본산 제품임이 확인됐습니다.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판매자들도 불매운동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서울 노원구의 한 대형마트.
맥주 등 식음료부터 생활필수품까지 130 가지가 넘는 일본산 제품은 모두 매장에서 철수했습니다.
원래는 일본맥주가 있던 공간입니다.
지금은 이렇게 모두 치우고, 비어있는 상태로 남겨뒀습니다.

인터뷰> 이동철 / 농협창동유통센터 기획마케팅팀장
“매출 손실도 있을 거고, 일부 고객님들은 불편함도 있을 거고. 이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같이 고민했지만 결국은 우리가 해야 될 도리가 먼저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힘을 모으고, 지금은 목소리를 같이 내야 할 시기라고 판단했기에...”

소비자들도 대형마트의 이런 불매운동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홍재록 / 서울시 중랑구
“매우 잘하는 것 같고요. 우리도 어차피 대한민국 국민이니까 일본 만행에 대해서 우리도 같이 (불매운동에) 동참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대형마트뿐만 아니라 전통시장도 불매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서울 강북구의 이 전통시장은 20여 개의 현수막을 내걸고 일본 불매운동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전통시장 특성상 일본산 제품이 많지는 않지만 수산물을 중심으로 판매를 자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노춘호 / 수유재래시장상인회장
“일본산 수산물 같은 경우는 전혀 판매를 안 하고 있고요. 다른 상품은 크게 저희가 일본 제품은 없지만 오가시는 고객님들도 보시고서 동참하시고, 그리고 우리 상인들도 참여를 독려하는 차원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한 달, 일본의 경제보복에 우리 국민들은 불매운동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김명신 / 영상편집: 정현정)

현장인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