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문재인 대통령 유엔총회 기조연설, 주요 메시지와 성과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문재인 대통령 유엔총회 기조연설, 주요 메시지와 성과는?

등록일 : 2019.09.25

임보라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우리시간으로 오늘 새벽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문제를 풀기 위한 3대 원칙을 천명하며 "한반도 비무장지대를 국제평화지대로 지정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서 이야기 나눠봅니다. 명민준 앵커 나와주세요.

(출연: 조진구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명민준 앵커>
네, 서울 스튜디오입니다.
조진구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와 함께 합니다.

명민준 앵커>
우선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유엔총회 참석과 미국 방문의 의미부터 짚어주시죠.

명민준 앵커>
그럼 어제 있었던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메시지 어떻게 요약해 볼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특히 문 대통령은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관한 3대 원칙을 천명했는데요, 각각의 내용과 의미 짚어주신다면요?

명민준 앵커>
또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DMZ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 것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관련 내용 직접 듣고 이야기 나누겠습니다.

[유엔총회 기조연설(2019.9.24.현지시간)]
나는 오늘 유엔의 가치와 전적으로 부합하는 이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유엔과 모든 회원국들에게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비무장지대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자는 제안을 하고자 합니다.

한반도의 비무장지대는 동서로 250㎞, 남북으로 4㎞의 거대한 녹색지대입니다.

70년 군사적 대결이 낳은 비극적 공간이지만 역설적으로 그 기간 동안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자연 생태계 보고로 변모했고 JSA, GP, 철책선 등 분단의 비극과 평화의 염원이 함께 깃들어 있는 상징적인 역사 공간이 되었습니다.

비무장지대는 세계가 그 가치를 공유해야 할 인류의 공동유산입니다.

나는 남북 간에 평화가 구축되면 북한과 공동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할 것입니다.

판문점과 개성을 잇는 지역을 평화협력지구로 지정하여 남과 북, 국제사회가 함께 한반도 번영을 설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꿔내고 비무장지대 안에 남·북에 주재 중인 유엔기구와 평화, 생태, 문화와 관련한 기구 등이 자리 잡아 평화연구, 평화유지(PKO), 군비통제, 신뢰구축 활동의 중심지가 된다면 명실공히 국제적인 평화지대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명민준 앵커>
연설에 DMZ의 의미와 구체적인 비전이 담겨 있었는데요, 관련 내용과 의미를 다시한번 짚어주신다면요?

명민준 앵커>
한편 이번 유엔총회를 계기로 문 대통령은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을 접견해 내년 도쿄올림픽 남북 단일팀 구성 및 개막식 공동입장 등을 논의했습니다.
관련 과제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또 이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일본이 2020 도쿄올림픽에서 욱일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강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떤 영향력을 떨치게 될까요?

명민준 앵커>
24일에 있었던 한미정상회담 내용도 살펴볼까요. 문 대통령이 어제 취임 이후 9번째 한미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제 회담 결과 브리핑이 있었는데요, 가장 큰 성과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두 정상은 북한에 무력을 행사하지 않고, 비핵화시 밝은 미래를 준다는 기존 공약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체제 보장을 원하는 북한의 요구에 화답한 걸로 봐도 될까요?

명민준 앵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했던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의 ‘새로운 계산법’과 관련한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북미 실무협상 재개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명민준 앵커>
한편 어제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앞으로 2~3주 안에 북미 실무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국가정보원의 보고가 있었습니다. 이어 연내 북미 정상회담과 김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도 언급되었는데요, 앞으로의 전개, 어떻게 전망해볼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그렇다면 연내 3차 북미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어떤 선결 조건이 필요할지, 그 가능성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명민준 앵커>
한편 어제 한미 두 정상은 지소미아 문제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고 한미일 3각 안보 공조에 대해서도 별다른 이야기는 없었던 걸로 전해집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 결정 이후 어제 한미 정상의 첫 대면이었는데 이 부분 어떻게 봐야 할까요?

명민준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이슈인 방위비 분담금 협상 문제도 어제 정상회담 논의 테이블에 올랐습니다.
두 정상은 서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합의했다고 전해지는데요, 관련 내용 짚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어제 두 정상의 모두발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의 관계가 아주 좋다며 그 증거로 오랫동안 북한의 핵실험이 없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아울러 단거리 미사일에 대해서도 ‘크게 신경 쓸 일이 아니’며 그 정도 미사일은 이미 많은 나라가 가지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어떤 의미로 봐야할까요?

명민준 앵커>
문 대통령은 유엔 총회 기간동안 폴란드·덴마크·호주 정상 등과도 회담했습니다.
청와대에서는 이같은 중견국들과의 공조 강화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비핵화를 위한 협력 필요성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유엔총회 참석과 기대성과에 대해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지금까지 조진구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