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미국 문서로 본 임시정부···국립중앙도서관 자료집 발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미국 문서로 본 임시정부···국립중앙도서관 자료집 발간

등록일 : 2019.12.19

한효재 앵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올 한해 국·내외 독립 운동을 재조명하는 다양한 활동이 펼쳐졌는데요.
자주독립을 위해 노력했던 여러 상황들이 구체적으로 담긴 미국의 문서가 자료집으로 발간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김창현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김창현 국민기자>
1.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문서입니다.
1941년 12월 20일 주중 대사 고스가 미 국무장관에게 보낸 보고 중 하나입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장 조소앙이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을 담고 있습니다.
이 서한은 한일 합병조약이 무효임을 선언하며 일본과의 투쟁을 단호히 표명합니다.

2. 조선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
조선민족혁명당의 활동을 다룬 보고서입니다.
우리 민족이 민주 정치의 기초 위에서 단결을 이루어야 한다고 해설하는 사설 '우리 통신' 13편과 이와 관련된 비망록과 번역문들이 실렸습니다.

인터뷰> 전혜린 / 국립중앙도서관자료수집과 주무관
"조선민족혁명당과 조선 의용대의 활동에 대해 다룬 서한과 책자를 싣고 있고요..."

3. 미국에서의 한국독립운동
1940년대 미국에서 펼쳐진 한국독립운동에 관한 문서들도 담겼습니다.
해외 한민족의 독립운동을 30년 넘게 주도한 대한인국민회의 사진과 미군이 작성한 미국 내 한인들에 관한 보고서는 당시 미국에서 독립운동이 어떻게 펼쳐졌는지 잘 보여줍니다.

이 기밀문서는 1943년 미국 정부 내 한국문제 관련 정보당국 실무자들의 회의 보고 중 일부입니다.
당시 한인 사회가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어떻게 인식됐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미국 문서로 보다' 자료집에 실린 보고서와 서한 등 81건과 기타 자료들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NARA(나라)가 소장하고 있던 자료를 수집해 선별한 건데요.
번역문과 요약문, 사진이 함께 담겨 연구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당시 상황을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전혜린 / 국립중앙도서관자료수집과 주무관
"국내에는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 등으로 인해 근현대 자료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NARA는 한국 근현대사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해외 기관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NARA 자료의 역사적 중요성에 비해 물리적 거리와 언어상 제약으로 인해 일반 이용자분들은 접근이 용이하지 못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은 2004년도부터 NARA의 근현대기 한국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1차 자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국 문서에 담긴 독립운동은 주요 공공 도서관 등에 배부된 자료집 또는 국립중앙도서관 누리집의 한 코너인 디지털 컬렉션과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촬영: 김석현 국민기자)
국립중앙도서관은 이번 자료집에 이어 근현대기 한반도의 정세와 관련한 해외 자료를 더 널리 수집 발굴해 연구 단체나 일반에 제공할 계획입니다.

국민리포트 김창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