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칙칙한 서울역 주변에 '문화공간의 빛'이…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칙칙한 서울역 주변에 '문화공간의 빛'이…

등록일 : 2019.12.19

한효재 앵커>
낡고 칙칙한 분위기였던 서울역 주변이 최근 부쩍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골목 곳곳에 다양한 복합문화 공간이 들어섰기 때문인데요.
옛 정취와 현대적인 멋이 어우러진 서울역 주변 문화시설들을 홍정의 국민기자가 직접 돌아봤습니다.

홍정의 국민기자>
(회현사랑채 / 서울시 중구)
서울역 주변에 문을 연 '회현 사랑채',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2층 집을 새로 단장한 것인데요.
이곳에서 펼쳐진 옛 선조들이 쓰던 막사발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

현장음>
"막 썼다고 막사발이라고 하기 때문에..."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저마다의 개성이 담긴 사발을 만드느라 푹 빠져 있는데요.
체험 프로그램이 열리는 문화공간이 생기자 주민들의 반응이 좋습니다.

인터뷰> 전정원 / 서울시 중구
"같이 하니까 더 재미있는 거 같고요. 서로 사이가 더 좋아지는 것 같고..."

인터뷰> 성지은 / 서울시 중구
"친구랑 같이 놀고 체험을 많이 해서 재미있었어요."

(코워킹팩토리 / 서울시 용산구)
서울역 뒤편 만리시장의 빈 점포에 만든 옷 만드는 작업 공간, 봉제 장인들이 다양한 옷 만드는 기술을 가르쳐주게 되는데요.
봉제 패션의 거점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인터뷰> 김미옥 / 서울시 마포구
"친구도 만나고 평상시에 제가 바느질을 굉장히 좋아하는데 이런 교실을 마련해주셔서 굉장히 감사해요."

낙후돼 있는 서울역 주변을 활성화하기 위해 조성된 복합문화공간, 도시재생 차원에서 모두 8곳이 생겼는데요.
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의 문화 거점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인터뷰> 이종필 / 서울 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행정과 주민과 전문가들이 고르게 협업하면서 같이 공간 조성을 위해 나름의 역할을 하면서 협업을 해온 과정의 결과물 (입니다)."

(계단집 / 1서울시 중구)
오래된 지붕과 바닥에서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목조건물, 옛 정취를 그대로 살린 마을 카페도 눈길을 끕니다.
1년 동안 교육받은 주민 바리스타 4명이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데요.
커피는 물론 직접 만든 수제청 등 다양한 음식을 선보인 가운데 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류경아 / '계단집' 운영 참여 주민
"회현동 하면 계단집 그곳에 정이 있고 푸근하고 좋더라, 다 수제로 만들어서 몸에 좋은 거로 판매하고 너무 좋더라 이런 이미지를 심어주고 싶은 거죠..."

인터뷰> 이윤정 / '계단집' 운영 참여 주민
"(주민들이) 커피에 관심이 굉장히 많아요. 그래서 일일 클래스라던가 워크숍도 할 계획이어서 그런 것을 지망하는 분도 계세요."

(감나무집 / 서울시 용산구)
서울역 주변의 허름한 가정집은 공유 부엌과 공유서가가 마련된 공간으로 바뀌었는데요.
책도 읽을 수 있고 요리 관련 프로그램도 열리게 됩니다.
복합 문화시설로 쓰이게 될 '중림 창고', 라이브 공연과 전시 등이 열리는 '은행나무집'도 서울역 주변에 생기를 더하게 됩니다.

서울역 주변에 새롭게 조성된 다양한 문화공간, 철도로 단절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마중물 역할을 다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국민리포트 홍정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