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안심하고 건너요"···안전 횡단보도 함께 만들어요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안심하고 건너요"···안전 횡단보도 함께 만들어요

등록일 : 2020.02.25

김제영 앵커>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들이 차에 치여 다치거나 목숨을 잃기도 하는 교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규정 속도나 신호를 무시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횡단보도 교통사고의 원인과 안전 대책, 조양래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조양래 국민기자>
서울 동작구의 횡단보도.
신호가 빨간색으로 바뀌기 전에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발걸음을 재촉합니다.
하지만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다 건너기 전에 신호가 바뀌면서 위험한 상황을 맞닥뜨리기 일쑤입니다.
짧은 보행 신호 때문에 발걸음이 느린 노인과 어린이는 특히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인터뷰> 서현숙 / 서울시 관악구
"여기 (신호가) 짧아서 걸어오는 도중에 차가 우회전하거나 좌회전할 때는 사고가 크게 나지 않겠나... 이 말이에요."

저는 또 다른 횡단보도에 나와 있습니다.
신호가 빨간색으로 바뀌었지만 멈추지 않고 지나가는 차량이 많은데요.
이곳에선 신호를 지키지 않은 차량이 보행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안전을 무시하는 운전 습관에 횡단보도가 너무 가까이 있는 구조적 문제도 있습니다.
100m 떨어진 거리에 횡단보도가 새로 생기면서 앞 신호에서 주황색에 진입한 차량은 이어 있는 횡단보도에서 정지신호와 만나게 되고 신호 주기도 교통 여건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경애 / 서울시 동작구
"여기 신호가 예전에 이러지 않았는데 바뀐 지 얼마 안 됐어요. 직진 신호가 한 2~3분 후에 떨어져야 하는데 좌회전 신호를 하다 보면 차가 중간에 걸려요."

도로교통공단의 조사를 보면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사고는 지난해 1만 3천 416건에 달합니다.
더 큰 문제는 지난 3년간 늘어나고 있다는 점인데 횡단보도 보행자 사고는 전체 보행자 사고 건수 중 25%나 차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횡단보도 신호체계뿐만이 아닙니다.
고장 난 횡단보도 시설 또한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데 경찰청이 국민과 함께 안전한 횡단보도를 만들기에 나섰습니다.
경찰민원포털의 안전신문고나 민원 상담 182에 전화를 통해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는 신호체계나 고장 난 시설을 접수해 개선하는 겁니다.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의 시야를 방해하는 횡단보도 불법주정차량에 대한 주민신고제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배윤준 / 서울지방경찰청 교통관리과 경사
"현장 조사를 통해서 (횡단보도 신호) 기준이 맞는지 그리고 기준에 맞다 하더라도 차량 정체가 영향을 받지 않는 선에서는 최대한 보행자들을 위해서... 신호만 준수해주신다면 저희가 어떻게든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촬영: 홍정의 국민기자)

'사람이 보이면 일단 멈춤' 이란 말 들어보셨습니까?
운전 중 횡단보도에 사람이 보이면 일단 멈추자는 슬로건입니다.
안심하고 건너는 횡단보도를 만들기 위해 국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시설 개선과 함께 운전자 보행자 모두 안전을 지키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국민리포트 조양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