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화 앵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일본이 한국인 '입국 제한 조치'를 강화하는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했습니다.
이번 조치가 비우호적, 비과학적이라며 철회하지 않으면 우리도 대응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일본이 오는 9일부터 한국인 입국제한 조치를 강화하는 데 대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를 청사로 불러 항의했습니다.
강 장관은 일본 정부의 부당한 조치에 깊은 유감을 표하고, 사전 통보도 없이 강행한 것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강경화 / 외교부 장관
"추가 조치를 자제할 것을 그간 수차례 촉구했음에도 충분한 협의는 물론 사전 통보도 없이 조치를 강행한 데 대해 개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강 장관은 우리 정부가 코로나19 확산 차단 성과를 일구어가는 시점에서 이뤄진 것도 매우 부적절하며, 그 배경에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불투명하고 소극적인 일본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우려를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면서, 이번 조치가 비우호적, 비과학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일본 측이 철회하지 않을 경우 우리도 대응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강경화 / 외교부 장관
"일측이 철회를 하지 않을 경우 우리로서도 상호주의에 입각한 조치를 포함한 필요한 대응 방안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임을 말씀드립니다."
강 장관은 이어, 주한외교단 대상 두 번째 설명회를 주재했습니다.
대사 47명 등 총 112개국 외교사절에게 우리 정부의 철저한 대처를 설명하고 과도한 조치를 하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녹취> 강경화 / 외교부 장관
"한국이 취하고 있는 철저한 대처를 본국에 설명하고 과도한 조치를 하지 않도록 권고해주길 바랍니다."
한편 김건 외교부 차관보도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와 청사에서 면담하고, 코로나19 대응 등을 논의했습니다.
현재 한국발 입국자에 조치를 내린 국가는 102곳입니다.
호주, 싱가포르, 터키 등 36개국은 한국 전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6개국은 일부 지역에 대해 입국금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정현정)
베이징시, 상하이시, 산둥성을 비롯한 중국 18개 지역과, 베트남, 마카오 등 14개국은 한국발 입국자를 격리 조치하고, 영국, 인도, 태국, 대만 등 45개국은 검역을 강화하거나 권고 사항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KTV 채효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