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방안 발표···80~100% 상향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방안 발표···80~100% 상향

등록일 : 2020.10.28

신경은 앵커>
세금을 낼 때 기준으로 삼는 게 '부동산 공시가격' 인데요.
정부가 '공시가'를 높이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기간에 따라 3가지 안을 제시했는데, '공시가격'과 시세의 차이를 좁히겠다는 취지입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공청회
(장소: 오늘, 서울)

각종 세금과 부담금을 매기는 기준 지표가 되는 부동산 공시가격이 시세보다 낮아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공시가격을 높이는 방안이 나왔습니다.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토지 등의 현실화율, 즉 현재 시세대비 공시가격의 비율이 평균 60% 정도인데, 이를 10여 년에 걸쳐 80%에서 최대 10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겁니다.
국토연구원은 현실화율 80%와 90%, 100%에 대한 각각의 검토안을 내놨습니다.
먼저 80%의 경우 공시가격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적고 시세 산정 오류에 대한 이의 신청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의 목표와 공시가격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는 미흡한 것이 단점으로 꼽힙니다.
현실화율 90%의 경우 표준 오차 분포 범위 내에서 시세에 근접해 공시가격을 매길 수 있지만 시세와의 격차는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100%는 법률상 적정가격이라는 취지에는 맞지만 세금 상승으로 국민의 부담이 커지고 공시가격이 시세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입니다.

녹취> 이형찬 /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적정가격을 최대한 시세에 근접하되 평가 오차 등으로 인해 공시가격이 시세를 초과하지 않도록하는 시세 반영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즉 부동산 유형별 균형성과 가격대별 형평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일 현실화 목표율을 설정해야 합니다."

또 목표로 설정될 현실화율에 도달하는 기간은 주택 유형과 가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공시가격 상승으로 덩달아 조세 부담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토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현실화율 80%의 경우 공동주택과 토지는 5년, 단독주택은 10년을 목표 도달기한으로 설정됩니다.
90%로 설정될 경우 토지 8년, 공동주택 10년 단독주택은 15년을 목표로 잡아 공동주택은 매년 3%, 단독주택은 2~4.5%가량 공시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당정이 2030년까지 10년에 걸쳐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90%로 맞추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는 세 가지 방안 가운데 시민 의견 수렴과 전문가 토론 등을 거쳐 한 가지를 확정해 공시가격 현실화율 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정현정)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