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떠올랐습니다.
정부에서도 정책적 지원을 통해 다양한 치료제 등 신약 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데요.
그런데 최근 일각에서는 정부가 지난 10년간 수조원을 들여 개발된 신약기술이 대부분 국내에서 활용되지 못하고 해외로 빠져나가 국가적으로 많은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 이병희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이병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장)
최대환 앵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일각의 지적에 의하면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 기술이 해외로 유출 되고 있다는 지적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그러니깐, 국내 제약기업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서 글로벌 임상 수행을 위해, 혹은 리스크 분산을 위해 해외에 기술이전을 한다 이런 말씀이군요.
앞서, 기술의 실시권 이전 이라는 말씀을 해주셨는데, 그렇다면,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기술 자체는 보호 받을 수 있는 건가요?
최대환 앵커>
기술은 수출 되지만 특허권 등이 여전히 국내 제약회사에 있기 때문에 기술이 유출되는 문제가 일어나는 건 아니라는 말씀이군요.
앞으로, 국내 신약개발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텐데, 마지막으로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네, 국내 신약 기술의 해외 수출과 관련해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병희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 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