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옛 여성의 삶 '내방가사' 조명 국내 최초 전시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옛 여성의 삶 '내방가사' 조명 국내 최초 전시

등록일 : 2022.01.20

송채은 앵커>
조선시대 이후 여성들이 '한글'로 지은 가사 작품을 '내방가사'라고 하는데요.
이런 내방가사를 처음으로 조명해보는 전시가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과거 여성들의 다양한 감정을 엿볼 수 있는데요.
김유진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유진 국민기자>
(국립한글박물관 / 서울시 용산구)
한글박물관 전시장에 들어서자 눈길을 끄는 글씨.
길이가 무려 14m나 되는 기다란 두루마리에 한글로 쓴 <헌수가>인데요.
지금까지 전해져오는 내방가사 가운데 가장 긴 작품으로 이번에 처음 공개됐습니다.

인터뷰> 서주연 / 국립한글박물관 학예연구사
“친정아버지의 회갑을 맞이하여 딸이 아버지의 건강과 가문의 영광을 위해서 필사한 작품입니다.”

<헌수가>는 일제강점기 당시 한 여성이 쓴 것, '인자하신 우리 부모 영영 행복하옵소서 이같이 좋은 모습 만고불변하옵소서'라는 구절이 보이는데요.
부모에 대한 진한 효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1867년 전후의 작품인 <기수가>라는 제목의 연작 7편도 선보였습니다.
출가한 딸들이 친정에서 잔치를 벌이고 <기수가>를 짓자 이에 마음에 들지 않았던 집 안 며느리들이 <답기수가>를 지었는데요.
시누이들이 친정집에서 무절제하게 노는 올케들을 꼬집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인터뷰> 양형민 / 서울시 관악구
“우리나라 여성들의 탄식, 한, 이런 우리 민족의 정서가...모든 사람의 한을 잘 보고 갑니다.”

'내방가사'를 주제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마련된 이번 전시, 조선시대 이후 여성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90여 편을 선보였습니다.

인터뷰> 서주연 / 국립한글박물관 학예연구사
“내방가사를 조명하는 최초의 전시입니다. 내방가사는 조선 후기부터 여성들이 문화의 주체로서 한글을 가지고 창작한 문학 장르 중 하나이고요.”

개화기를 거치면서 내방가사의 내용도 풍성해지는데요.
구한말 윤희순이 지은 <안사람 의병노래>가 대표적인 사례,
여성들도 의병을 적극적으로 도울 것을 권장하는 내용입니다.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덴동어미 화전가>, 경북 영주지방에 전해지는 인물인 '덴동어미'의 고통스러운 삶에 공감하고 위로하는 내용인데요.
'덴동어미'는 4번 결혼하고 불에 덴 아이를 홀로 키우는 비극적인 인생을 살았던 여성입니다.

인터뷰> 임규리 / 경기도 안산시
“여성들의 삶에 대한 문학(작품)이 있어서 굉장히 흥미롭게 봤고요. 그 시대에 이제 아이를 낳고 키우는 모습들이 많이 공감되었던 것 같습니다.”

1892년 작품으로 처음 공개된 <계녀통론>, '어린 것을 남의 가문 보내놓고 시집살이하는 딸의 아비 되고 잊을쏘냐'라는 구절이 보입니다.
특이하게 세상을 떠난 어머니 대신 아버지가 지은 것인데요.
홀로 키운 딸이 시집을 가자 어미 없이 키운 자식이 시댁에서 배운 것 없다는 소리를 들을까 걱정하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인터뷰> 유희봉 / 경기도 용인시
“옛날 사람들의 자식에 대한 정이라든가 가르치고 싶은 부모 마음이 애절하네요.”

(촬영: 이선형 국민기자)

'이내말삼 드러보소, 내방가사' 특별전
▶ 기간: ~4월 10일까지
▶ 장소: 국립한글박물관 기획전시실

옛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담은 기록으로써 큰 가치가 있는 내방가사 전시, 백신 접종 증명서 또는 유전자 증폭검사 결과 음성 확인서를 제출해야 관람이 가능한데요.
오는 4월 10일까지 계속됩니다.
조선 후기에 큰 시대 변화를 겪으며 창작된 내방가사를 감상할 수 있는 특별 전시.
봉건 사회라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목소리를 냈던 여성들의 삶에 잠시 공감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김유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