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그때 그 시절, 탄광의 역사를 본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그때 그 시절, 탄광의 역사를 본다

등록일 : 2022.12.06

김나연 앵커>
연탄으로 난방을 하던 6~80년대, 그때 그 시절 탄광의 모습은 어땠을까요?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탄광이었던 경북 문경 '은성탄광'이 이제는 박물관이 돼 탄광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홍승철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홍승철 국민기자>
(경북 문경시)
1994년 폐광 전까지 30년간 석탄을 생산했던 문경 은성탄광.

홍승철 국민기자
"이곳은 광산으로 들어가던 다리인데요. 상부는 석탄을 실어 나르던 광차가, 하부는 일반차량이 다니던 이중식교량이었습니다."

(문경에코렐라 석탄박물관 / 경북 문경시)

연탄 모양을 본뜬 박물관 안으로 들어서자 석탄과 관련된 체험 공간이 눈에 들어옵니다.
19공탄으로 불렸던 서민 연료 연탄.
연탄을 만드는 과정부터 연탄을 때는데 필요한 난방 기구들이 옛 시절을 불러냅니다.

인터뷰> 이정혜 / 경북 상주시
"추운 겨울날 오들오들 떨면서 집에 들어갔는데 연탄 두 장 포개서 따뜻하게 데워진 그 방, 온돌방에 들어가면 손도 몸도 따뜻해지고..."

인터뷰> 민기홍 / 경북 상주시
"겨울에 교실에서는 밥을 데워먹을 수 없었기 때문에 양철 도시락을 갈탄으로 만든 연탄난로 위에 차곡히 쌓아서 데워서 먹었습니다. 도시락이 맨 밑에 것은 눌어가지고 일부러 누룽지를 먹기 위해서 맨 밑에 도시락을 넣으려고 경쟁도 하고 그랬어요."

석탄재와 땀방울이 범벅이 된 채 지하 갱도에서 착암기로 탄맥을 뚫고 있는 모습은 어려웠던 시절 모든 것을 걸고 석탄을 캐던 광부들의 삶을 보여줍니다.
갱도의 깊이는 800m, 파들어간 전체길이는 무려 400km에 이른다는데요.
당시 이곳에서는 약 4,300명의 광부들이 일했다고 합니다.
석탄을 운반하고 광부들이 이동하던 지하 갱도,

현장음>
"난 지금 어디쯤 내려와 있을까, 그래도 같이 살자 우리 같이 살아나가자~"

붕괴 때 탈출구를 알려주는 쥐를 친구처럼 가까이했고, 유독가스를 금방 알아채 갱도의 첨병 역할을 했던 새, 카나리아 이야기는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킵니다.

현장음>
"친구~ 생명을 지켜주는 친구~"

최신 미디어 기술을 만나 새롭게 태어난 갱도는 이색 체험장입니다.

현장음>
"발파가 깨진 돌들을 치우고 갱도가 무너지지 않도록 지주를 세웁니다."

인터뷰> 손유승 / 대구시 동구
"기차 탈 때 껌껌해서 무서웠는데 안에 들어가니까 재미있는 게 많아서 좋았어요."

지하 8백 미터.
광부들이 탄을 캐고 휴식을 하던 공간.
가족을 위해 위험을 무릅썼던 그들의 힘겨운 삶이 뮤지컬 공연으로 펼쳐집니다.

인터뷰> 임우정 / 대구시 북구
"깊은 땅속에서 석탄을 캐며 가족을 부양했던 그분들을 생각하니 숙연해집니다. 오늘 저희가 편하게 살 수 있는 것은 그분들의 노력 때문이 아닐까요..."

(탄광사택촌)

탄광에서 나와 언덕길을 내려가면 사택촌이 나타나는데요.
입구에 내걸린 당시 구호와 이발관과 목욕탕, 주점, 식육점 당시 가게들과 살림살이 모습이 그 시절 광부와 탄광촌의 삶을 보여줍니다.

인터뷰> 윤두현 / 문경에코랄라 대표이사
"석탄, 화석연료 에너지가 전 세계적으로 산업혁명이나 우리나라 근현대사 발전에 이바지한 것을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다음 세대 어린이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지, 또 우리 아이들이 어떤 생활을 앞으로 해나가야 되느냐에 대해서 테마파크 에코랄라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취재: 홍승철 국민기자)

박물관 앞터에는 광산 사고로 숨진 이들의 넋을 기리는 위령비가 세워져 있는데요.
석탄산업과 지역경제의 이끌었지만 이제 몇몇 남아 명맥만 유지하는 탄광이 박물관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모으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홍승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