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발사에 실패한 뒤 바다로 떨어진 우주발사체 잔해의 일부를, 우리 군이 서해에서 끌어올렸습니다.
송나영 앵커>
인양된 잔해는 2단 추진체 부분으로 추정되는데, 길이 12m에 동체에는 '천마'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김민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민아 기자>
(평택 해군 2함대 사령부)
직경 2~3m, 길이 12m 정도의 원통형 물체.
표면에 '천마' 라는 글씨가 선명하게 적혀있고, 하늘을 나는 말 모양도 그려져 있습니다.
지난달 31일, 북한이 발사한 3단 발사체 '천리마-1형'의 2단부로 추정되는 잔해입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이 어제(15일) 오후 8시 50분쯤,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잔해를 인양했다고 밝혔습니다.
잔해가 발견된 곳은 어청도 서남방 200여 km 해역, 수심 약 75m 지점이었습니다.
군 당국은 지난달 31일, 북한이 발사에 실패한 직후부터 인양작전을 펼쳤습니다.
해군 구조함 10여 척과 잠수사 수십 명 이 투입됐지만 강한 조류와 50cm 정도로 한정된 시야 등으로 난항을 겪었습니다.
녹취> 신경준 / 광양함 구조부 잠수부사관
"(서해가) 펄이어서 잠수사가 내려가는 순간, 펄 물이 위로 올라와서 시야를 완전히 가리게 됩니다. 손의 감각만으로 작업을 해야 해서 그 부분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잔해물의 '원통형 구조'도 인양 지연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ㄷ' 모양의 고리를 이용해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분리체 상단부와 본체 접합 부분에 금이 간 겁니다.
군은 균열이 생긴 부분에 와이어와 'ㄷ' 모양의 고리를 설치한 뒤 하단부에는 와이어를 추가로 설치해 수면 아래 10m까지 인양했습니다.
이후 보강 와이어를 설치해 잔해를 구조함 갑판에 싣는데 성공했습니다.
군 당국은 다른 지역에서 잔해물로 추정되는 지름 약 2~3m의 원형 고리 모양 잔해물도 추가로 인양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정종구 / 해병대사령부 화력참모처장
"함정 및 항공기를 이용하여 북 주장 우주발사체에 대한 주요 구성품인 위성체, 엔진 등에 대한 탐색 및 인양작전을 (지속 시행할 예정입니다.)"
인양된 발사체 잔해는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로 옮겨져 한미 군 당국이 공동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영상취재: 국방부 공동취재단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2단부 동체는 곧 국방과학연구소로 이송돼 본격적인 분석작업에 들어갈 전망입니다.
KTV 김민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