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가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발맞춰 공무원 복지 증진과 행정 효율성 향상을 목표로 2025년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일·가정 양립 문화 조성과 디지털 기반 인사행정 구축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인사혁신처 박용수 차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박용수 / 인사혁신처 차장)
김용민 앵커>
2025년 인사혁신처 예산편성은 행정환경 변화와 국민과 공무원의 의견을 반영하는데 주력했다고 하는데요.
예산 편성 배경과 주안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정부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를 위해 선발 기준 등을 개선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우수한 국가 인재를 채용하기 위한 전략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디지털 기반 인사행정을 구축하기 위해 전자인사관리시스템, 행정기관 공동 활용 통합채용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는데요.
이에 대한 예산은 어떻게 편성 됐나요?
김현지 앵커>
국정운영을 뒷받침하기 위한 예산 편성에 대해 들어봤는데요.
그렇다면 현 정부 임기 반환점을 지난 시점에서, 주요 국정과제 성과와 핵심정책 추진 현황 등에 대해서도 짚어주시죠.
김용민 앵커>
최근 악성민원 등으로 힘들어하는 공무원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이들 위한 심리지원 서비스를 운영한다고 하는데요.
마음건강센터의 운영현황과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각종 공무상 재해요인으로부터 공무원을 보호하기 위한 예방정책을 담은 범정부 공무원 재해예방 종합계획의 주요 내용과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퇴직공무원의 공직에서 쌓은 전문성을 활용한 대국민접점 퇴직공무원 사회공헌 사업도 운영되고 있다는데요.
주요 내용과 내년도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인사혁신처는 가정 친화적이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지원하는 공직사회 구현을 앞장서고 있습니다.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설명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그간 원팀 정부를 위한 전략적 인사교류를 실시해 오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최근 저연차 공무원의 조기 퇴직 증가 등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들을 위한 처우 개선 계획도 마련했다고요?
김용민 앵커>
공직사회의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인사혁신처가 자체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근무혁신의 세부 내용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인사혁신처는 이번에 출범 10주년을 맞이했는데요.
그동안 공직사회 혁신과 일·가정 양립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보여줬습니다.
마지막으로,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인사혁신처 박용수 차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