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새학기를 앞두고 어떤 점이 달라질까요?
우선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바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도입되는 건데요.
김현지 앵커>
전국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그리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도입될 AI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한 내용을 교육부 교육콘텐츠정책과 고영훈 과장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고영훈 / 교육부 교육콘텐츠정책과)
김용민 앵커>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위해 오랜 시간 준비해오셨는데요.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우선,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는 이유와 필요성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그렇다면 AI 디지털교과서만이 가진 장점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우선 올해 영어, 수학, 정보 과목에 먼저 도입할 예정인데요.
AI 디지털교과서 적용 대상과 도입 일정이 어떻게 되나요?
김현지 앵커>
AI 디지털교과서의 가장 큰 특징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학습 상황을 파악해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는 건데요.
교육현장에 AI 교과서가 도입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김용민 앵커>
반면에 일각에서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시 예상되는 재정적 부담과 청소년들의 디지털기기 중독이나 문해력 저하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김현지 앵커>
AI 교과서 도입에 따라 교사의 역할 변화도 요구되고 있는데요.
교사들의 디지털 기반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계신가요?
김용민 앵커>
AI 교과서 도입 준비 과정에서 교사 뿐 만 아니라 학생들을 대상으로도 사전에 교육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김현지 앵커>
현재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은 우리나라가 최초라고 하는데요.
해외에서 디지털 기기로 수업을 진행하는 사례가 있나요?
김용민 앵커>
AI 교과서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장비와 환경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텐데요.
인프라 구축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김현지 앵커>
또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나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데요.
보안 시스템은 충분히 준비되어 있나요?
김용민 앵커>
앞으로 AI 디지털교과서가 디지털 교육 혁신을 이끄는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끝으로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와 원활한 현장 안착을 위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교육부 고영훈 교육콘텐츠정책과 과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