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KTV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조사, 30분을 추첨하여 CU모바일 상품권 (1만원)을 증정해 드립니다! 기간 : 25. 10. 27.(월) ~ 11. 07.(금) ASEAN 순방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2023년 소득이동성 34.1%···3년 연속 감소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2023년 소득이동성 34.1%···3년 연속 감소

등록일 : 2025.10.27 17:33

임보라 앵커>
2023년 소득이동성이 34.1% 기록하며,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소득계층 이동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상위 20%인 5분위에 진입한 사람은 여전히 3.5%에 불과했는데요.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2023년 소득이동성은 34.1%입니다.
전년보다 0.8%p 줄어드는 등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소득 고착화가 심해졌습니다.
소득분위 간 상향 이동자는 17.3%, 하향 이동자는 16.8%로 나타났습니다.
1분위(29.9%), 2분위(28.1%), 3분위(18.1%) 순으로 상향 이동비율이 높았고, 하향 이동비율은 3분위(26%), 4분위(23.5%), 2분위(20.5%) 순이었습니다.

녹취> 최바울 / 국가데이터처 경제사회통계실장
"(2022년) 소득 1분위에(하위 20%) 속한 사람 중에서 29.9%는 2023년도에 상향 이동했고, 5분위로(상위 20%) 진입한 사람은 3.5%로 전년과 동일합니다. 1분위 유지율은 70.1%, 5분위 유지율은 85.9%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성별 소득이동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습니다.
여자의 경우 전년 대비 상향이동이 소폭 증가했고, 남자는 상·하향 이동 모두 감소했습니다.
다만 1분위 탈출률과 5분위 진입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습니다.
연령대별 소득이동성을 보면, 15~39세 청년층이 40.4%로 가장 높았고, 65세 이상 노년층은 25%로 가장 낮았습니다.
2017년 1분위의 약 28%는 2023년까지도 여전히 1분위에 머물렀습니다.
5분위 59% 역시 7년 동안 같은 위치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취재: 고광현 / 영상편집:정성헌 / 영상그래픽: 손윤지)
한편 2023년에 소득 상승한 사람은 64%, 하락한 사람은 33.9%, 동일한 사람은 2.1%였습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