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는 14일 “1조 들여 구축한 GIS, 활용 못하는 환경부”란 제목의 독자칼럼을 실었습니다.
정부가 1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서 국가지리정보시스템, 이른바 국가GIS 사업을 추진해 지하시설물 지도를 구축했지만 아직도 이 지도가 하수관거 정비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환경부는 하수관거 정비와 유지관리를 위해서 국가GIS와 연계해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환경부 생활하수과의 임양석 주무관 전화연결해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보도 내용을 보면 지하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든 국가 지리정보시스템이 하수관거 정비 사업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건데요, 사실은 어떻습니까?
A> 환경부에서는 건설교통부에서 국가지리정보기본법에 의거해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 GIS구축과 관련하여 연계 추진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건설교통부에서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하수관 등 지하매설물에 대한 GIS구축 사업이 전국 167개 시·군 중에서 32개 시 지역의 직경 300mm이상인 하수관을 대상으로 완료된 상태이고 47개 시 지역도 하수도대장 등의 전산화를 통한 GIS를 구축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하수관거 정비사업 전반에 대한 GIS연계구축은 시기적으로 이른 상태이지만 하수도법에서도 하수도대장의 전산화가 가능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상태입니다.
Q> 하수관거 정비와 관련해 향후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A> 하수관의 전산화가 완료되더라도 하수관거의 유지보수에 GIS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유지관리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와 호환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국가GIS가 구축된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하수관거정비사업 시행 지역은 호환이 가능하도록 소프트웨어와 제도를 정비하고 있고요 국가GIS 구축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직경 300mm이하의 하수관거에 대해서는 별도의 GIS 구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는 한강수계 하수관거 정비사업과 하수관거 BTL사업 추진시에 하수관 유지관리에 용이하고 국가GIS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각 사업별로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