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과학기술로 국민 `삶의 질` 높인다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해로부터 안전한 삶을 지키고 사회적 약자가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술정책이 필요합니다.

2030년까지 국민 삶의 질을 세계 10위권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기술기반 삶의 질 향상 방안이 마련됐습니다.

기자>

수출 주도와 성장 우선 정책으로 단시간에 세계 12위의 경제규모를 갖추게 된 우리나라.

하지만 사회적 성장은 상대적으로 낮아 지난해 IMD, 즉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이 발표한 삶의 질 수준은 60개국 가운데 41위에 그쳤습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열린 자문보고회의에서 2030년까지 국민 삶의 질을 세계 10위권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보고했습니다.

과학기술자문회의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국민의 안전기반 구축과 사회적 약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해주는 기술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공을 가리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에 기반한 복지기술과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그리고 장애인과 노인 등 사회적 약자의 편리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공학 분야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삶의 질 관련 제품에 대한 인증과 표준화 체제를 구축하고 개발된 제품과 기술의 사업화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또 국가차원에서 삶의 질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전문인력 육성과 교육도 강화합니다.

안전과 장애인 노인복지 등 삶의 질 관련 기술정책은 그 동안 각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돼 통합 관리가 힘들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범국가적 정책 추진을 위해 삶의 질 관련 기술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연도별로 세부추진계획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