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나이는 37.3세로, 갈수록 고령화돼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남녀 성별간 임금격차는 줄었지만 학력간 임금격차는 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자>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 중 대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31.7%.
대졸 이상 근로자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해 근로자의 고학력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학력별 임금격차도 커져 고졸 근로자의 월급여액을 100으로 했을 때 대졸 이상 근로자의 월 급여액은 2002년 149.4, 2003년 151.7, 지난해엔 154.9를 기록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 사업체의 고용규모가 커질수록 월급여액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동부가 지난해 6월을 기준으로 6,400여개 사업체에서 일하는 근로자 49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금구조 조사 결괍니다.
85년 30.6세였던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지난해에는 37.3세로 99년 이후 매년 높아져 고령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확대되면서 성별 임금 격차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남성 근로자 평균 임금을 100으로 봤을 때 여성근로자는 2002년 64.8, 2003년 65.2, 2004년 65.7에 이어 지난해에는 66.2를 기록했습니다.
연령별 임금 수준은 20~29세의 월급여액을 기준으로 남성 근로자는 45~49세 계층이 159.2로 가장 높았고, 50세 이후부턴 연령계층이 높아질수록 급여수준이 낮아졌습니다.
여성근로자는 30~34세에 임금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편 월 300만원 이상의 임금을 받는 고임금자 비율은 최근 4년새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