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실험 발표가 있은 지 5일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13일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은 그 의미가 큽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의 의미와 향후 북핵 대응 방향 등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 홍현익 수석연구위원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Q> 한중 정상은 13일 회담에서 북한 핵 실험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유엔 안보리의 “적절한 대응조치”를 지지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한중정상회담의 의미를 정리해 주시죠.
Q> 중국의 `북핵 중재`가 성사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중국은 북한 핵실험에는 반대하지만, 강력한 대북제재 대신 외교적 해법에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 중국의 북, 미 `중재외교` 어떻게 봐야하나요?
Q> 유엔안보리 제재결의안 채택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는 가운데, 미국이 군사적 제재를 배제한 7장 41조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초의 군사적 제재에서 비군사적 제재로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요?
Q> 아무래도 안보리 결의안이 나온 뒤 북한의 입장은 어떠한가요?
Q> 대북 포용정책을 폐기해야하나, 아니면 상황변화에 맞게 수정하되 기조는 유지해야 하냐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 정책변화를 제안한다면 어떤 방식이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