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노동부, 전자카드제 활성화 방안 이미 마련

KTV 국정와이드

노동부, 전자카드제 활성화 방안 이미 마련

등록일 : 2006.10.13

MBC는 12일 뉴스투데이에서 “정책 따로, 현실 따로”라는 제목으로 건설 현장의 전자카드제도를 기사화 했습니다.

MBC 뉴스는 건설 일용직 근로자들의 실업급여 정산을 위한 전자카드제도가 추진되고 있지만 공사장의 참여율은 절반에도 못 미친다고 보도했습니다.

전자카드 사업이 지지부진한데도 정부는 내년에도 계획대로 장비를 보급할 방침이어서 예산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는 주장도 덧붙였습니다.

이 보도에 대해 노동부는 오해를 일으킬 소지가 있어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노동부 보험운영지원팀의 조병기 팀장 전화연결해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우선 보도된 전자카드제도가 어떤 취지와 내용으로 추진되고 있는지요?

A> 건설일용근로자들이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된다는 것은 건설업체가 근로자들이 일한 기록을 매달 노동부에 신고해야 합니다.

○ 현재 건설업체는 주로 서면으로 신고하고 있는데 늦게 신고하거나, 부정확하게 신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자카드는 근로자가 스스로 체크하는 것이어서 신고가 정확합니다. 따라서 근로자는 실업급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 전자카드제도는 건설업계의 투명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Q> MBC는 전자카드제 참여율이 낮다면서 정부가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전자카드제 활성화를 위해 어떤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까?

A>
○ 전자카드사업은 건설현장에 카드리더기를 설치하고, 근로자에게는 전자카드를 보급하여야 하므로 초기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됩니다. 그래서 정부는 시범사업을 해보고 있습니다.

○ 경인지역에 시범사업을 추진해 본 결과 국민연금 등 타 사회보험 보험료에 대한 부담 우려 등으로 인해 건설사업주 및 건설일용근로자의 참여가 미흡한 점이 드러났습니다.

○ 이에 우리 부는 ‘06. 8월「전자카드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을 수립하여 ‘07년중도 시범사업의 계속 실시하면서 사업의 활성화를 꾀할 계획입니다.

○ 현재 추진되고 있는 건설업 관련 제도개선이 마무리되어 사회적 여건이 조성되는 ‘08년부터 전국에 확대하여 실시하기로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