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언론 다시보기 시간입니다.

지난 2일 행정자치부는 우리나라의 토지소유자 가운데 약 50만명이 전체 개인소유 토지의 57%를 차지하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한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동아일보는 3일에 이어 4일도 “편가르기식 땅부자 통계 왜 내나”라는 제목으로 행정자치부가 통계를 왜곡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동아일보는 행자부가 발표한 ‘지난해 말 토지소유 현황 분석’에서 토지를 갖고 있지 않은 20대 미만이 모집단에 포함되는 등 개인별 토지 소유를 근거로 한 통계가 의도적으로 왜곡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함께 지난해 발표에서는 행자부가 개인별 자료만 공개했다가 언론이 통계상의 문제를 지적하자 뒤늦게 세대별 자료를 내놓았다고 덧붙였습니다.

행정자치부는 우선, 정부가 의도적으로 통계를 왜곡했다는 주장이 사실과 전혀 다르다는 입장입니다.

행자부 부동산정보관리센터 이경철 센터장의 목소리로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이경철>

행자부는 사실 그대로의 통계결과만을 발표하였습니다.

즉, 올해부터 일반인들이 알기 쉽고, 시계열 자료가 가능한 통계표를 작성하기 위해 통계표의 구간을 상위 1천명미만, 1천-5천명,… 등으로 나누어 작성하였습니다.

전체인구 대비 1%라는 것은 언론에서 일반인들에게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상위 50만명을 전체인구의 약 1%로 간주하여 기사화 한 것으로, 행자부가 발표한 자료에는 이런 내용이 없습니다.

행자부는 또, 동아일보가 개인별 통계의 문제를 지적하자 행자부가 세대별 자료를 새로 내놓았다는 주장 역시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이경철>

세대 통계 자료는 작년에 7월에 개인별 통계를 발표하면서 통계 작성에 시간이 소요돼 세대별은 8월에 발표하겠다고 브리핑에서 서두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동아일보의 요구로 세대별 통계가 작성된 것이 아닙니다.

또한, 동아일보는 가구와 세대의 개념을 혼돈하여 사용하면서, 정확히 작성된 세대별 통계는 사용하지 않고, 추정치인 ‘가구당 구성원’ 3.3명을 사용하여 “가구”의 토지소유현황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주먹구구식 계산으로 정확한 통계를 깎아 내리는 행위로, 언론이 오히려 사실을 왜곡보도 하 는 것입니다.

그리고 행자부에서 작성한 개인별 통계는 세대별, 연령대별, 거주지별 소유현황을 분석하는 핵심적인 기초 통계자료입니다. 그러므로 언론에서 개인별 통계가 의미가 없다고 보도하는 것은 말이 맞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