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 분야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이같은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교육과 문화 등 각 분야별로는 어떤 계획들이 실행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참여정부의 역점 추진과제 중 하나인 방과후 학교.
사교육비 절감은 물론 교육 양극화 해소에 한몫을 담당하고 있어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요는 많지만 아직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이에 따라 방과후 학교를 농어촌으로 확대하고 저소득층 자녀를 위해서 바우처 제도를 운영할 방침입니다.
그렇게 되면 방과 후 학교 강사와 보육지원 전담인력 등 만개가 넘는 일자리가 새로 생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장애학생의 학습과 생활을 돕는 특수교육보조원을 늘리고,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가정의 장애아를 위한 종일반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또 깨끗한 학교 만들기 사업의 하나로 학교 청소전담인력을 확충하는 등 내년 한해 모두 3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만여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문화예술 부문에서는 6천4백여개의 사회서비스 관련 일자리가 창출됩니다.
우리나라 국민총생산은 세계 12위지만 삶의 질은 OECD 회원국 중 26위로 하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특히, 문화 부문은 인프라나 향유 여건 등에서 선진국과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문화관광부는 이에 따라 각종 문화시설의 품질을 높이고 문화 향유능력이 부족한 취약계층이 폭넓게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복지를 증진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도서관과 박물관 등 국,공립 문화시설의 개관시간을 연장하고 서비스 전문인력을 충원할 방침입니다.
또 문화예술과 체육 등의 분야에서 전문직종을 발굴해 서비스 영역을 전문화함으로써 고용을 창출할 계획입니다.
그밖에도 소득격차에 따른 문화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장애인과 아동복지시설의 보호 아동에게 문화예술교육과 생활체육활동 등을 지도할 강사와 프로그램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