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캐나다, NAFTA 체결로 경제활력 회복
한국개발연구원과 한미FTA체결추진위원회 주최로 미국과 FTA를 체결한 외국의 사례를 살펴 시사점을 짚어보기 위한 국제 토론회가 14~15일 이틀 동안 열렸습니다.

NAFTA 체결로 경제활력을 되찾은 캐나다는 협상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을 극대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지난 1994년 미국, 멕시코와 NAFTA를 체결한 캐나다.

일각에서는 NAFTA로 인해 양극화가 심화되고 고용의 질이 하락하는 등 캐나다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캐나다의 경제 상황은 어떻게 변했을까.

국민 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90년대 중반보다 다소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멕시코와 오스트리아의 경우 협정 체결 후 지니계수는 오히려 줄어들었기 때문에, FTA가 양극화를 심화 시켰다고 볼 수만은 없다는 평갑니다.

한편 경제 성장률은 NAFTA 체결 전인 1989년부터 1993년까지 0.8% 불과했지만, 체결 이후 3.4%로 크게 올랐습니다.

고용 상황도 NAFTA 이후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업률은 체결 이후 1.6% 하락했고 파트타임의 비율도 0.9%가 줄어들었습니다.

물론 NAFTA 이후 타격을 입은 분야도 있습니다.

캐나다의 농업 인구는 협정 체결 후 0.5%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품질과 생산성 향상에 주력한 결과 쇠고기와 가금류 등의 수출은 오히려 큰 폭으로 늘어났습니다.

과감한 시장 개방으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은 캐나다.

전문가들은 모든 제도에는 음지와 양지가 있는 만큼 FTA 체결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의 극대화에 주력하는 것이 협상 성공의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