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한미 정상회담
본문

KTV 국민방송

한국은행, 2/4분기 GDP 발표
한국은행이 25일 2/4분기 국내총생산을 발표했습니다. 올해 2/4분기 실질국내총생산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4분기 성장률이 6.1%였으니까 상반기 전체로는 5.7%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달 초 한국은행의 예상치보다 분기로는 0.2%p, 상반기 전체로는 0.1%p 떨어진 수치입니다.

가장 큰 원인은 건설경기의 하락이 컸던 데 있었습니다.

지난 2/4분기 국내 건설경기는 당초 예상보다 큰 3.9%의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재건축 규제 등 부동산 안정대책의 영향으로 민간과 주거용 건설이 부진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은 전체적으로 부동산 규제가 지속되고 있고 하반기에 본격 시행을 앞둔 내용이 많아서 건설투자 부문은 전반적으로 부진한 양상을 띨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의 하락세는 기록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반기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 등 공공부문의 건설 계획이 예정돼있고 재정의 집행도 상반기에 60%, 하반기에 40%로 편성됐던 작년과는 달리 올해는 상하반기 5대5로 고르게 집행되기 때문이라며 전망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건설부문을 제외하고는 다른 부문은 당초 전망보다 다소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가 큰 폭의 증가를 보여전기대비 2.8% 증가 했습니다.

수출은 반도체와 산업용기계 등의 수출이 크게 늘면서 성장률이 6.3%를 기록했습니다.

민간소비도 증가세가 지속돼서 내수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합산치가 당초 예상보다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이 때문에 회복세를 보이던 우리 경제가 `다시 주춤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불확실성입니다.

다시 말해서 같은 하락세라 하더라도 예상하지 못한 하락은 문제가 되지만 예상하고 있었다면 이미 큰 문제는 아니란 거죠. 한국은행은 당초 이런 결과를 어느 정도 예측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건설경기가 예상보다 조금 컸던 것입니다.

하반기에는 공공부문의 건설이 줄줄이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건설경기 하락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중요한 것은 세계경기입니다.

현재 세계경기는 주요국들을 중심으로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국내 가계부채와 소비증가율도호조세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하반기 우리 경제가 전체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하반기 성장률을 4.4%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큰 변수가 없는 한 올해 전체로는 잠재성장률을 약간 웃도는 5% 성장 달성은 무난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