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위기 극복
-
삼둥이도 태아보험 가입···인수기준 개선
최대환 앵커>그 동안 삼둥이 이상 다태아 산모는 태아 보험에 가입하는 게 쉽지가 않았습니다.일부 보험사에서 가입을 거절하거나 가입 조건을 너무 까다롭게 정했기 때문인데요.내년부터는 이런 불이익이 한층 줄어들 전망입니다.신경은 기자입니다.신경은 기자>그동안 일부 보험사는 합병증 등을 우려해, 다태아 산모의 태아보험 가입을 거절하거나 제한적으로 인수했습니다.내...
-
저고위 "인구위기 극복 핵심, 일·가정 양립"
모지안 앵커>인구위기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해,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지역소멸 대응 포럼을 열었습니다.주형환 부위원장은 인구 비상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건, 일과 가정의 양립이라고 강조했습니다.이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이혜진 기자>제2회 지역소멸 대응 포럼 (장소: 13일, 대전상공회의소)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대전·세종·충청 지역 경제...
-
신혼부부 절반은 딩크···일·가정 양립, 주거 지원 선호 [현미경]
김경호 기자>뉴스의 숨은 이야기까지 확대해 보여드립니다.오늘 들여다 볼 뉴스 키워드는 신혼부부 절반은 딩크입니다.지난해 기준 결혼한지 5년 이내인 신혼부부 수가 통계청 조사 결과 97만4천쌍으로 집계됐습니다.신혼부부가 100만 쌍 아래로 떨어진 건 이번이 처음인데요.모처럼 높아진 출산율 반등 기대에 적신호가 켜진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특히 초혼 신혼...
-
저출생·고령화 압도적 1위···인구 위기 극복 해법은? [경제&이슈]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인구비상대책회의를 열고 그간 성과와 연도별 목표·과제를 밝혔다. 저출생 현황부터 사회-경제적으로 미칠 파급 효과들을 점검하고, 저출생 극복을 위한 핵심 전략을 짚어 미래사회를 전망한다.
-
육아휴직, 부부 합쳐서 최대 3년! 2025년 육아지원 3법 시행 [클릭K+]
신경은 기자>저출생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여러 가지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데요.이런 가운데 2024년 9월 26일,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근로기준법 등 '육아지원 3법'이 국회를 통과해, 아이를 양육하는 보다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정책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었습니다.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육아휴직은 현행법상 최대 1년까지,...
-
이른둥이 의료비 지원 2천만 원까지···제6차 인구비상대책회의
김현지 앵커>제6차 인구비상대책회의가 열렸습니다.이번 회의에선 이른둥이를 위한 맞춤형 지원책이 구체적으로 발표됐는데요.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윤현석 기자>제6차 인구비상대책회의 (장소: 3일, 정부서울청사)여섯 번째 인구비상대책회의를 주재한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최근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 증가뿐 아니라 출산의향과 결혼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
-
출생아 수, 12년 만에 최대폭 증가···혼인 건수도 늘어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올해 들어 반가운 아기 울음소리가 많이 들려옵니다.최근 석 달 연속으로 출생아 수가 2만 명을 넘었는데요.취재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김유리 기자, 9월 출생아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증가했다고요?김유리 기자>그렇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9월 출생아 수는 2만590명으로 7월 이후 3개월 ...
-
대통령실 브리핑 - 이른둥이 맞춤형 지원 대책
대통령실 브리핑 - 이른둥이 맞춤형 지원 대책유혜미 / 대통령실 저출생대응수석 (오늘 오후 2시 발표)(장소: 대통령실 브리핑룸)
-
9월 출생아 10.1% 증가···9년 만에 출산율 반등 기대
최대환 앵커>지난 9월 출생아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넘게 늘었습니다.이에 따라 3분기 합계출산율이 0.76명을 기록했는데요.이런 추세가 그대로 이어진다면 올해 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할 것으로 기대됩니다.김경호 기자입니다.김경호 기자>통계청이 발표한 9월 출생아 수는 2만590명으로 지난해보다 10.1% 증가했습니다.월별 출생아 수는 지난 7월 ...
-
저출생 반등세 살릴 '육아지원 3법' 내년 시행
박성욱 앵커>일·가정 양립 활성화를 위한 '육아지원 3법'이 지난 9월 국회를 통과했습니다.내년 2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인데요.육아지원 3법 개정으로 어떤 변화가 있을지 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육아정책연구소 김나영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출연: 김나영 /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박성욱 앵커>지난 22일 육아지원 3법 법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