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심 상점가를 중심으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반면 정작 상품권 사용처인 전통시장은 점차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데요.
접근성이 떨어지는 전통시장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경호 기자>
도심에 위치한 골목형상점가입니다.
상가 건물 벽면과 상점 곳곳에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다는 안내문이 눈에 띕니다.
도심 상권에서도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소비자들은 반기는 모습입니다.
인터뷰> 오건하·정세영 / 대전광역시 서구
"가까운 곳에서 쓸 수 있으면 가까운 곳에서 쓸 것 같아요. 유성만 하더라도 5일장 말고는 전통시장이 따로 없으니까 또 거기까지 가는 게 번거롭기도 하고요."
반면 정작 온누리상품권 사용처인 전통시장은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온누리상품권 발행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5조 5천억 원을 기록했지만 전통시장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2006년 1천6백 개에 달했던 전통시장은 2023년 1천4백여 개로 줄었습니다.
인터뷰> 이상훈 / 정원상가상인회 사무국장
"최근 들어서 시장이 유동인구가 많이 줄어든 상태고요. (손님들이) 다닌다고 많이 다니시긴 하지만 저희가 눈으로 봐도 많이 티가 나는 상황이라 (상인들이) 많이들 위축됐죠."
골목형상점가는 30개 이상 점포가 밀집한 지역에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문제는 이 권한이 전적으로 선출직인 시장과 구청장, 군수 등 지자체장에게 있다는 점입니다.
김경호 기자 rock3014@korea.kr
"이로 인해 정치적 고려나 표심을 의식하다 보니 도심 상권 위주로 골목형상점가가 쏠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골목형상점가는 지난 2020년 처음 도입된 이래 올해 4월 기준 465곳으로 급증했습니다.
해마다 100곳가량 늘어난 셈인데 이로 인해 전통시장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문광민 /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때 할인율을 더 높여주는 방식으로 해서 소비자가 실제로 전통시장을 이용했을 때 얻게 되는 편익을 높여주는 방식으로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내수 활성화 측면에서 상품권 사용처 확대는 긍정적이지만 소외되는 전통시장에 대한 배려도 필요해 보입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전민영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