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서울 청년, 대중교통요금 할인···찬반 팽팽
조은빛나 앵커>
최근 취업난과 물가 상승으로 인해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이 큰데요.
서울시의회에서 대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대중교통 요금 할인을 확대 적용하는 조례안을 발의했습니다.
찬반논란이 팽팽하게 일어나고 있는데요.
심수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심수현 국민기자>
대학생 이규리 씨는 교통비 때문에 걱정이 많습니다.
매일 두세...
-
인천공항 식물검역 체험···외래 병해충과의 싸움
조은빛나 앵커>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인천국제공항.
국제화물 물동량은 지난해에만 286만 톤으로 세계 3위입니다.
해외로부터 반입되는 수입품이 많은 만큼 '검역 과정'에 어려움이 많은데요.
이에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달부터 '국민 참여단'을 운영 중입니다.
창의적인 대응 방안을 만들기 위해 인천공항 식물검역 현장을 찾은 국민 참여단.
...
-
감성 문구 '로고젝터'···쓰레기 투기 막는다
조은빛나 앵커>
'로고젝터'란 말 들어보셨죠?
골목길 바닥이나 벽면에 '감성 문구'를 비추는 건데요.
주로 범죄 예방을 위해 활용되던 로고젝터가 골목길 쓰레기 무단 투기를 줄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한영학 국민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한영학 국민기자>
한적한 주택가 골목길, 단속반원이 쓰레기를 뒤지고 있습니다.
누가 버렸는지를 확...
-
완연한 봄빛 물씬···시장 나들이객 북적
조은빛나 앵커>
겨울이 멀어져 가고 어느새 '봄기운'이 완연한데요.
봄꽃이 가득한 '꽃 시장'과 봄나물이 쏟아져 나온 '민속장터'가 북적이고 있습니다.
약동하는 새 봄맞이 현장에 박종선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종선 국민기자>
도심에서 봄이 가장 먼저 달려온다는 꽃시장, 수선화와 팬지 등 갖가지 봄꽃이 주인을 기다립니다.
기온이 크게 ...
-
유관순 영화 보고 "독립만세" 외친 관객들
조은빛나 앵커>
3·1 운동 백 주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그날의 감격을 되새기고 있는데요.
항일 만세운동에 앞장섰던 유관순 열사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를 보고, 극장에서 독립만세를 외친 관객들이 있습니다.
지난 한 주간 화제가 됐던 SNS 소식을, 김수아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온라인 강좌 '케이무크'···명강의 듣고 학점까지
이유리 앵커>
케이무크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대학에서 인기있는 강의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평가 받는 '무료 강좌'를 말하는데요.
평생학습의 장으로 등극한 케이무크.
이제는 학점 취득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김서윤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서윤 국민기자>
취업 준비생 문홍지씨는 온라인으로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평소 관심이 있던 역사학...
-
한국민속촌 '조선 캐릭터' 공개 오디션 눈길
이유리 앵커>
각설이와 기생, 사또..
한국 민속촌에 가면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캐릭터를 만날 수 있어 재미를 더하고 있는데요.
조선시대 캐릭터로 민속촌을 누비며 활동할 사람들을 뽑기 위해 공개 오디션이 펼쳐졌습니다.
그 현장을, 윤근배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윤근배 국민기자>
그 옛날 조선 시대 기생 옷차림을 한 여성, 자신을 유...
-
뜨끈한 시래기 국밥···이웃과 사랑 나눠요
이유리 앵커>
요즘 같은 날씨에 뜨끈한 시래기 국밥 많이 생각나시죠.
돌봐 줄 가족이 없어 한 끼 식사가 절실한 소외된 이웃에게 시래기 국밥으로 사랑을 나누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따뜻한 봉사 현장에 박세정 국민기자가 찾아가 봤습니다.
박세정 국민기자>
점심시간, 한 끼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식당과 마당에 긴 줄을 이뤘습니다.
오늘 음식은 ...
-
'삼베 수의·유족 완장'···장례문화에 일제 잔재
이유리 앵커>
삼베 수의와 상주의 팔 완장.
우리 전통 장례 문화로 알고 계시는 분이 많은데요.
이런 풍습은 우리 문화가 아니라 일제가 남긴 잔재라고 합니다.
장례문화 속 일제의 흔적을 황혜정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황혜정 국민기자>
1919년 3월 3일 고종황제가 마지막 떠나는 길, 대한문을 나선 황제의 국장 행렬은 우리 전통의례가 아닌 ...
-
가족과 함께 '전통장 만들기 체험'
이유리 앵커>
그 집 음식 맛을 알려면 장맛을 보면 알 수 있다는 말이 있죠.
하지만 가정에서 직접 고추장과 된장, 간장을 담가 먹었던 전통이 사라지고있는데요.
가족과 함께 전통 장을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이 펼쳐져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서희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이서희 국민기자>
전통 장을 만드는 체험 현장, 참가한 가족들이 전통식품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