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테이크아웃점 빈 컵 반납···'절반의 성공’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테이크아웃점 빈 컵 반납···'절반의 성공’

등록일 : 2018.05.29

길거리나 공원을 걷다보면 빈 테이크아웃 컵이 이곳저곳 나뒹굴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죠.
대구에서는 한 구청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테이크아웃 빈 컵을 업소 아무곳에나 반납할 수 있는 정책을 도입해 일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빈 컵을 아무데나 버리는 비양심적인 시민이 여전히 많습니다.
최유선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대구 시내에 있는 한 카페,
테이크아웃 빈 컵 받아주기 참여 가게라는 표시판이 붙어 있습니다.
이곳은 커피전문점, 마찬가지로 빈 컵 받아주기에 참여하고 있다는 표지판을 붙였습니다.
이들 업소들은 다른 업소에서 손님이 들고나온 빈 컵도 받아 분리 배출합니다.
“이것 좀 버려주세요.”

인터뷰> 곽소현 / 대구시 남구
“커피를 사서 마시면서 다른 카페에 가서 빈 컵을 주었는데 흔쾌히 받아주어서 고마웠는데 다른 분들도 많이 이용했으면 좋겠어요.”

인터뷰> 김성원 / 커피전문점 운영
“길을 가다 보면 종이컵이 많이 버려진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런 것을 좀 막고자 구청에서 이 (빈 컵 받아주기) 제도를 실시하고 있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마시다 남은 일회용 컵은 수거함에 버려도 얼음이 녹거나 내용물이 흘러내려 악취나 나거나 해충이 날아들기 마련, 다른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이 때문에 대구시 중구청은 지난해 6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테이크아웃 빈 컵 반납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다른 업소에서 갖고 나온 컵이라도 가까운 테이크아웃 판매점에 반납하면 업소에서 받아 분리 배출하는데요.
150여 개 업소가 참여하고 있지만 1년 가까이 된 지금 성과는 아직 미흡해 보입니다.

인터뷰> 장돈호 팀장 / 대구시 중구청 위생과
“모니터링 결과 하루 평균 (빈 컵) 2,158개가 지정된 테이크아웃점 157개소에서 (회수돼) 배출된 양의 15% 회수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곳은 대구 시내 한 골목 주변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테이크아웃 빈 컵이 여기저기 나뒹굴고 있습니다.
빈 컵 반납제도까지 생겼지만 거리 곳곳에는 이런 볼썽사나운 모습이 여전합니다.
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거리나 공원에는 테이크아웃 컵 분리 쓰레기통이 설치돼 있는데요.
하지만 빈 컵이 여기저기 나뒹구는 모습은 여전합니다.
문제는 아직도 빈 컵 반납 제도를 모르는 시민들도 적지 않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김예린 / 대구시 달성군
“이런 제도가 있는지 몰랐고 이런 제도가 있더라도 다른 집에서 커피를 사 먹은 경우라서 그 사람들이 기분 나빠할까 봐 못 갖다 줄 것 같아요.”

대구 중구 관내 테이크아웃 판매점은 모두 6백 곳으로 빈 컵 반납 제도에 참여하는 업소는 전체의 30%가 안 되는데요.
중구청은 참여 업소를 늘리기로 하는 한편 시민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에 나섰지만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아무 데나 버려진 '테이크아웃 빈 컵' 때문에 전국 어디서나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대구에서는 빈 컵 반납 제도가 표류하고 있습니다.
시민들 스스로 양심을 버리는 행위를 자제해야 하지 않을까요.
국민리포트 최유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