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급성장하는 전자책 시장, 출판계도 불붙어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급성장하는 전자책 시장, 출판계도 불붙어

등록일 : 2021.05.12

강수민 앵커>
요즘 종이책 대신 전자책 읽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전자책 이용이 확산되면서 전자책으로 1인 독립출판하는 사례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일상 속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전자책을, 서민경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서민경 국민기자>
평소 독서를 즐기는 대학생 A 씨, 종이책 대신 앱을 통해 전자책을 자주 이용합니다.
책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도 덜고 내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책 특유의 장점으로 효율적인 독서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전자책 선호 대학생
"밑줄 그은 부분을 제가 따로 정리하지 않아도 모아보기가 가능하다는 점과 책에 있는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는 점이 제가 전자책을 이용하는 이유 같습니다."

스마트폰은 물론 태블릿 PC 보급이 크게 확산된 요즘, 언제 어디서든 전자책을 이용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문체부가 조사한 국민 독서 실태를 보면 성인은 지난 2019년 전자책 이용률이 16.5%로 2017년보다 2.4% 포인트 증가했습니다.
특히 학생은 37.2%로 7.4% 포인트 증가해 성인보다 훨씬 빠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인터뷰> 이윤승 / 부산시 동래구
"잡지나 소설 같은 경우 전자책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2, 3번 정도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국내 한 대형서점에서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판매한 전자책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1%나 증가한 상황.
전자책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앱이 개발되면서 소설부터, 오디오북까지 다양한 장르를 접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비슷한 여건에서 종이책보다 비용 부담이 적은 것이 전자책으로 눈을 돌리게 하는 한 요인.
특정한 도서 2권을 산다고 가정할 때 종이책은 3만 원 정도 드는 반면에 특정 전자책을 볼 수 있는 앱을 이용하면 첫 달은 무료로 볼 수 있고, 무료 기간이 지나면 만원 안팎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으로 교재까지 전자책을 이용할 정도로 성장 추세인데요.
여기에다 종이책과 비교했을 때 제작 과정이 간소화되고 제작비 부담이 줄어 전자책 출판 장벽도 낮아진 상황, 전자책으로 1인 독립 출판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김소영 / 온라인 출판 플랫폼 운영실장
"전자책이 많이 보편화하면서 1인 독립출판 비율이 많이 늘어난 건 맞는 것 같고요. 예전에는 종이책만 (독립출판) 하셨는데 요새는 전자책도 동시에 많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자책이 확산되면서 잡지에도 전자 출판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작가들의 책이나 에세이 웹진을 전자 출판 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홍아미 / 'ㅇ' 전자출판사 대표
"종이 출판은 비용이 많이 들고 단계도 많이 거쳐야 하는 한계가 있었어요. 그런데 그것에 비해서 전자출판은 약간의 기술만 배우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으로 다가왔던 것 같아요."

전자책이 뜨면서 종이책 이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추세, 하지만 전자책보다 종이책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아직 더 높은 게 현실입니다.
종이책 고유의 특성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종이책 선호 시민
"책을 넘기는 소리를 좋아하고 책을 읽고 있는 나 자신이 좀 더 뿌듯하고 좋아서 종이책을 더 좋아합니다. 전자책은 오래 읽으면 눈이 아프고..."

(촬영: 문여주 국민기자)

전문가들은 전자책의 미래 전망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전화인터뷰> 조항제 / 부산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전자책의 전망은 비교적 밝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종이책이 공략할 수 없었던 영역을 전자책이 일부라도 확장하는 경향이 있지 않을까 이렇게 조심스럽게 전망해봅니다."

시대적 흐름에 맞는 다양한 장점으로 우리 일상 속에 확산되고 있는 전자책, 종이책과 함께하는 공존의 길을 가면서 그 나름의 영역을 더욱 넓혀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리포트 서민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