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쌀 한 톨의 소중함 깨닫는 '전통 벼베기' 체험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쌀 한 톨의 소중함 깨닫는 '전통 벼베기' 체험

등록일 : 2022.10.25

김채원 앵커>
요즘 농촌의 황금 들녘에서는 한 해 땀 흘린 결실을 거두는 수확이 한창인데요.
옛 전통방식 그대로 낫을 이용해 벼 베기를 체험한 초등학생들이 있습니다.
밥상에 오르는 한 톨의 쌀이 얼마나 소중한지 온몸으로 느꼈다고 하는데요.
김남순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전라남도농업박물관 농업테마공원 / 전남 영암군)
황금물결을 이룬 비탈진 곳의 다랭이 논, 전남 영암에 있는 농업테마공원인데요.
목포의 한 초등학교 학생 70여 명이 전통 벼베기 체험 학습을 위해 이곳을 찾았습니다.

인터뷰> 배우리 / 전남농업박물관 농업연구사
"직접 벼를 베면서 학생들이 벼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현장음>
"여보시오, 농부님네~"

풍물 소리와 농부가가 울려퍼지는 이곳에서 농업박물관 직원이 낫으로 벼베기 시범을 보입니다.

현장음>
"벼를 잡고 이렇게 베는 거예요~"

설명을 들은 어린 학생들이 벼포기를 잡고 낫으로 베기 시작하는데요.
처음 해보는 낫질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요.
벼 한 포기를 잡고 한참 동안 씨름을 하는가 하면 낫질을 하다 그만 엉덩방아를 찧기도 하는데요.
몇 차례 낫질을 시도한 끝에 간신히 싹둑 벼를 벱니다.

현장음>
"됐다!"

시간이 흐를수록 능숙해지면서 일일 농부가 다 된 느낌입니다.
서툰 학생들을 위해 선생님이 직접 낫을 들고 가르쳐주기도 합니다.

현장음>
"벼를 꽉 잡아요, 아래쪽을..."

콤바인으로 쉽게 벼를 수확하는 요즘 모습과 완전히 다른 전통 벼베기, 구슬땀을 흘리는 사이 예전 농부의 수고로움을 새삼 알게 되고,

인터뷰> 강이든 / 목포 상동초 2학년
"벼를 베니까 약간 힘들었어요. 허리도 힘들었고 농부들에게 고마운 마음이 들어요."

인터뷰> 윤지영 / 목포 상동초 6학년
"(벼베기가) 힘들었는데 예전에 이렇게 농사하던 어르신 분들은 얼마나 힘들었을까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인터뷰> 김성엽 / 목포 상동초 6학년
"밥 한 톨도 소중히 여겨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수확한 벼가 수북이 쌓여가는데요.
홀테라는 전통 농기구를 이용해 타작을 하기 위해 자리를 옮깁니다.
농업박물관 직원이 벼 이삭을 훌테에 넣고 잡아당기면서 훑어내니 낟알이 우수수 떨어집니다.

현장음>
"끼워서 앞으로 쭉 훑어요."
"이쪽에 있는 쌀들을 다 빼낼 거예요."

마냥 신기해하는 어린이들.
홀테 사용법을 알게 되자 직접 해봅니다.
홀테 아래에 낟알이 수북하게 쌓였는데요.
홀테보다 더 진화한 것은 탈곡기, 두 농기구 모두 지금은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는데요.
벼 한 줌씩 손으로 잡아 원통에 대고 발을 굴리면 낟알이 떨어지고 손에는 지푸라기만 남습니다.
많은 시간을 들여야 했던 예전의 탈곡 작업에 어린 학생들은 시선을 떼지 못합니다.

인터뷰> 김경민 / 목포 상동초 2학년
"낟알이 우수수 떨어지니까 신기했어요."

벼베기부터 탈곡까지 땀 흘리고 일일 농부가 돼 본 어린 학생들, 들판에서 먹는 점심은 그야말로 꿀맛입니다.

인터뷰> 유지혜 / 목포 상동초 5학년
"일하고 먹는 밥맛은 꿀맛이고요. 농부들의 쌀 한 톨이 고맙게 느껴져요."

인터뷰> 정지원 / 목포 상동초 5학년
"힘들게 일하는 농부를 생각하면서 밥을 더 열심히 노력하면서 먹어야겠어요."

농경문화 체험 학습을 마련한 선생님은 뿌듯함을 느낍니다.

인터뷰> 김예찬 / 목포 상동초 교사
"평소에 농촌체험을 할 기회가 별로 없는데 직접 와서 하니까 아이들이 즐거워했던 것 같습니다."

2시간 동안 이어진 이번 체험은 쌀 소비가 크게 줄어든 요즘 시의적절한 교육이었습니다.
매일 마주하는 쌀밥이 되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땀을 흘려야 하는지를 알게 된 벼베기 체험.
어렵고 힘든 벼농사에 어린 학생들이 새롭게 눈을 뜨게 된 소중한 시간이 됐습니다.

국민리포트 김남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