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80년 만의 귀향"···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해 봉환

KTV 대한뉴스 7 화~금 07시 00분

"80년 만의 귀향"···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해 봉환

등록일 : 2023.12.05 09:20

모지안 앵커>
스물네 살의 꽃다운 나이에 일제의 강제동원으로 해외에서 희생된 고 최병연 씨의 유해가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녹취> 이준승 /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장
"이번에 미국의 DPAA에서 적극 협조를 해서 하와이까지 유해를 공수해줬고 저희가 하와이에 가서 유해를 인도받아오게 됐습니다."

이역만리 남태평양의 타라와 섬에서 생을 마감한 지 80년 만의 귀향입니다.
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윤현석 기자>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1943년.
일제에 의해 남태평양 타라와 섬으로 강제동원된 조선인들은 전선에서 총알받이로 내몰렸고 약 1천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스물네 살 청년 최병연 씨도 그중 하나였습니다.
낯선 땅에 잠들어있던 고인은 지난 2018년 미 국방부 전쟁포로 실종자 확인국, DPAA가 유해를 발굴하며 세상 밖으로 나왔습니다.
그리고 2019년 한국 정부의 유전자 교차 분석을 통해 유해가 최병연 씨라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윤현석 기자 yoonhyun1118@korea.kr
"고 최병연 씨의 유해는 2020년 유해봉환이 추진됐지만 코로나 19 여파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잠정 중단됐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미 DPAA 등과 계속해서 협조를 이어갔고 지난해부터 유해 봉환을 재추진했습니다."

(장소: 지난 3일, 인천국제공항)

유해 봉환이 추진된 지 4년이 흐른 가운데 최 씨의 유해가 고국 땅을 밟았습니다.
남태평양 타라와 섬에서 생을 마감한 지 80년 만입니다.
긴 세월 가족을 그리워하며 지내온 유가족은 지금이라도 최 씨를 고국에 모실 수 있음에 감격했습니다.

녹취> 최종오 / 故 최병연 씨 유족
"하루라도 빨리 고향으로 할아버지를 모시고 가서 안치를 시키는 게 저희 할 일이라 생각하고, 마음이 너무 기쁘고 이 일을 진행해주신 분들께 너무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가족의 품에 안긴 고 최병연 씨의 유해는 고향인 전남 영광군으로 향했습니다.
선산에 안장되기 전, 고인의 유족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인의 넋을 기리는 추도식이 진행됐습니다.
이상민 장관은 추도사를 통해 고인의 명복을 기원하고 유가족에게 진심 어린 위로를 전했습니다.
이어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 봉환은 국가의 책무이며 가슴 아픈 역사를 치유하기 위한 중요한 일이라며, 마지막 한 분의 유해를 봉환할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상민 / 행정안전부 장관
"일본의 유텐지, 사할린 지역에도 강제동원 희생자분들의 유해가 흩어져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본과 러시아와 협력해서 이분들도 다 고국의 품으로 모실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8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태평양 어느 낯선 섬에 잠들어 있던 고 최병연 씨.
(영상취재: 한기원 김준섭 / 영상편집: 김세원)
이제는 따뜻한 고향의 품에서 영면에 들어갔습니다.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