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6·25 정전협정 64주년 '정전협정에서 평화협정으로 가는 길' [라이브이슈]
우리 정부는 지난주 남북한 상호 적대행위를 중지하는 군사당국회담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을 동시 제안했죠.
당초 27일이라는 시한이 있었지만, 정부는 데드라인을 두지 않고 북한의 호응을 기다리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 64주년, 남북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길은 무엇일까요?
전문가와 살펴봅니다.
통일연구원 조한범 선임연구위원...
-
국정운영 5개년 계획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집중분석]
김초희MC>
새 정부 외교·통일 분야의 국정목표는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입니다.
이를 위한 세부 전략과 국정과제를 짚어봅니다.
이하경MC>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있는 김용현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와 함께 합니다.
-
장관, 슈테판 아우어 주한 독일대사 면담
장관, 슈테판 아우어 주한 독일대사 면담
-
"北 평창올림픽 참가 마지막까지 기다리겠다"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이 20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오늘 평창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행사가 열렸는데요.
문 대통령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평창동계올림픽을 200일 앞두고 열린 행사에 참가한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올림픽 참가 결정을 기다리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다가올 대회가 북한의 ...
-
"적십자회담에 호응해야"…탈북민 재입북 조사
북한이 남북회담 제안에 답변을 내놓지 않고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북한의 호응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한편 통일부는,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재입북 사례에 대해 경찰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우리 정부가 남북 군사회담과 적십자회담을 제의한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북한은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
국방부...
-
"적십자회담에 호응해야"…탈북민 재입북 조사
아직까지 북한은 우리 정부의 남북회담 제안에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거듭 북한의 호응을 촉구했습니다.
한편 통일부는 국내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재입북 사례에 대해 경찰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우리 정부가 남북 군사회담과 적십자회담을 제의한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북한은 아무런 반응...
-
"일희일비 안 해…추가 제안 계획 없어"
통일부도 우리 정부의 회담 제의에 침묵하고 있는 북한을 향해 조속한 호응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또 북한의 반응이 없는 상태에서는 회담 관련 추가 제안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정유림 기자의 보도입니다.
"일희일비 하지 않고 한걸음씩 노력하겠다"
적십자회담 제안에 닷새째 답하지 않고 있는 북한을 향해 통일부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며, 북한의 호응을...
-
유엔 北인권특별보고관 "대화 제의 환영…화답해야"
우리나라를 방문 중인 토머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인권 구상을 지지한다며, 북한은 이에 화답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일영 기자입니다.
토머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 인권특별 보고관은 우리 정부가 군사적 인도적 분야에서 북한에 대화를 제안한데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의 호응도 ...
-
"일희일비 안 해…추가 제안 계획 없어"
통일부도 우리 정부의 회담 제의에 침묵하고 있는 북한을 향해, 조속한 호응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또 북한의 반응이 없는 상태에서는 회담 관련 추가 제안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정유림 기자의 보도입니다.
적십자회담 제안에 닷새째 답하지 않고 있는 북한을 향해 통일부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며, 북한의 호응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녹취> 이유진 / 통...
-
북한의 여름나기 [북한 지금은]
김초희MC>
이번 순서는 북한의 최근 이슈와 주민들의 생활상을 알아보는 <북한 지금은> 시간입니다.
이하경MC>
다양한 북한 소식 전해주실 분입니다.
이순실’탈북인과 함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초희MC>
특히, 여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물놀이’ 인데요.
북한에 '문수 물놀이장' 이라고 불리는 초대형 물놀이장이 있다고 합니다....